'의료공백' 중대 고비 오나…의대교수들, 4월부터 외래 진료도 축소
의대 교수들 줄사직 이어져…연대의대 일괄 제출만 629명
전국의대교수비대위, 총회 열어 진료축소 논의…'분수령' 예고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의대증원으로 불거진 의사들 이탈 사태가 39일 차를 맞은 가운데 의대 교수들은 사직서를 내며 법정 근로시간과 전공의 지키기에 나섰다. 피로가 누적된 교수들은 외래진료도 줄이겠다고 했다.
29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에서 지난 25일부터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 잇따르고 있다. 명분은 2000명 의대증원 백지화·제자인 전공의 징계를 막겠다는 것이지만, 전공의가 떠난 빈자리를 채우느라 쌓인 피로도 또한 거론된다.
연세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지난 25일 학장에게 의대와 세브란스·강남세브란스·용인세브란스병원 교수 629명의 사직서를 냈다. 의대들 중 공개된 사직서 제출 규모로는 가장 많다.
울산대의대 교수 비대위도 교수 433명의 사직서를 모아 지난 25일 대학에 제출했다. 서울의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25일부터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자는 점에 합의했다.
가톨릭대의대 교수 비대위와 성균관대의대 교수 비대위도 전날(28일) 교수들의 사직서를 각각 취합했다. 다만 이들은 구체적인 제출 인원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밝혔다.
고려대의대 교수 비대위는 25일 안암·구로·안산병원에서 각각 모여 총회를 열고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때 200여 명의 교수들이 동참했고 이날까지 일부 교수들이 추가로 제출하고 있다.
전남대의대 교수 비대위에는 132명이, 조선대의대 교수 비대위에는 53명이 이날 오전까지 사직 의사를 밝혔거나 사직서를 취합한 상태다. 이들은 추후 대학 측에 사직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충북대의대·병원에서도 지난 25일부터 최소 50명 이상의 교수가 사직서를 전했다. 이외 각지의 의대에서 교수들이 자발적인 선택을 전제로 개별적 또는 집단적으로 사직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번 집단사직의 도화선은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가 됐다. 이들은 지난 15일 회의를 열어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당시에는 미복귀 전공의들의 행정처분이 예상됐고, 의대증원에 실망해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을 지지·동참한다는 차원에서 비대위 내 합의가 이뤄졌다.
40일에 다다른 전공의 공백에 대다수 의대 교수들은 피로가 누적돼 환자를 제대로 보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토로했다. 근무 시간과 함께 외래진료를 줄여가고 있다.
사직서가 수리될 때까지 진료는 계속 이어가겠지만 외래진료, 수술, 입원진료 근무시간은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 이내로 줄이기로 했다.
의대 교수협의회 등의 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최근 전공의 수련병원 병원장들에게 근로시간을 주 52시간으로 지켜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중증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료를 위해서는 이 방법밖에 없다고 말한다. 전의교협은 4월부터 단계적인 외래진료 축소 또한 계획하고 있다.
전의비도 이날 오후 7시 비대면 온라인으로 제4차 총회를 열어 의대 비대위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한다. 총회에서 논의된 결과는 30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설명하겠다는 입장이다.
방재승 전의비 비대위원장은 뉴스1에 "오늘 총회를 열고 향후 계획을 논의할 예정인데 '중요 분수령'이 될 듯하다. 진료 재조정을 강도 높게 상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 위원장은 "정부가 사직서 제출을 '쇼'로 규정하고 있다"면서 "사직서 제출하는 이들이 실제 사직에 대비해 외래 재조정 등 진료를 줄여나갈 것이고, 이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보건복지부는 지속해서 전공의들의 복귀를 촉구하고 의대 교수들의 사직은 만류하고 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통해 "이탈 의료인은 즉시 복귀하고, 사직서를 제출했거나 제출하려는 교수들은 철회하고 현장을 지켜달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건강보다 더 귀한 건 없다. 국가의 헌법적 책무고, 의료인들의 존재 이유다. 이를 부정할 때는 어떤 주장의 정당성도 확보되지 않는다"며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