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없는 불길 뛰어든 '소방관 비극'…생존자 찾는 '음향 센서'로 막는다

인공지능이 재난 현장 음향 분석 생존자 여부·위치 파악
행안부, 올해 9월 전 실증 돌입…빠르면 내년 일선 보급

소방대원들이 화재 현장에 진입하고 있다. ⓒ News1 공정식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구조대가 재난 현장에 혹시 모를 생존자를 찾으러 들어갔다가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정부가 생존자 수색용 '음향 센서'를 개발한다. 올해 실증을 거쳐 내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현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행안부는 사고 현장에서 구조가 있어야 하는 사람을 찾도록 돕는 '이상 음향-음성 탐지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지난해 사업을 시작해 올 하반기 실증을 앞두고 있다.

건물 붕괴·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서 구조 대원이 위험을 무릅쓰고 무리하게 현장에 진입하거나 생존자를 수색하느라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하는 취지다.

생존자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소방·구조대 등이 현장에 진입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 1월 경북 문경 화재 때 고 김수광 소방장, 고 박수훈 소방교는 혹시 모를 생존자를 찾아 현장에 진입했다 끝내 빠져나오지 못하고 순직했다.

정부가 개발 중인 센서는 인공지능이 건물 내부 음향을 분석해 현장 진입 없이 생존자 여부를 알려준다. 사람이 내는 소리라면 위치가 대략 어디쯤인지도 알 수 있다.

사업을 수행 중인 모아데이터 연구소 관계자는 "사람 목소리는 물론 벽이나 가구를 두들기는 소리 등 인간이 재난 상황에서 낼 수 있는 각종 소리를 AI에 학습시키고 있다"며 "생존자가 항상 깨어 있지만은 않은 건물 붕괴 등 장기 재난에 대비해 코 고는 소리, 다쳐서 신음하는 소리까지 학습했다"고 설명했다.

일차적 활용처는 건물 붕괴 상황이지만 화재 등 상황에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센서가 보급되면 생존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구조대원이 무리해 진입할 필요가 없어진다.

장소를 확정하고 9월 전 실증에 돌입할 예정이다. 붕괴 상황에서의 활용을 최우선으로 하는 만큼 재개발 지역 실제 붕괴 건물에서 실험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내년까지 시스템 개발을 마칠 계획이다.

모아데이터 연구소 관계자는 "소방대원이나 구조대가 건물 붕괴나 화재 등 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의 인명 수색에 굉장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센서를 전국 일선에 보급해 이 같은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더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