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은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경쟁중…"개물림·유기 막으려면"

지자체들 잇따라 '최대 규모'만 강조해 홍보
"문화 개선 없으면 테마파크서도 사회문제 이어져"

한 동물병원에서 주사치료가 이뤄지는 모습.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경기도, 부산시 등에 이어 서울시가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조성하겠다고 밝혀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테마파크 계획에 뛰어드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시설을 조성할 때 오락적 요소만큼이나 입양·교육 등 반려문화 전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경기 연천군에 2027년까지 약 12만㎡ 규모의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인근에 5000㎡ 규모의 반려동물 추모관도 함께 계획했다.

서울시는 "시내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90여만가구(22.2%)에 달하지만 반려동물과 함께 편안하게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다"며 "수도권 최대 규모로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반려동물 테마파크 사업은 유행처럼 전국 지자체로 확산되고 있다. 2021년 경북 의성군 '의성 펫월드'에 이어 울산시, 경기도 등이 테마파크를 운영중이며 서울시, 대전시, 부산시, 천안시, 순천시가 현재 사업을 추진중이다.

특히 지자체들은 잇따라 '수도권 최대 규모', '전국 최대 규모' 등을 앞세워 홍보에 치중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규모를 앞세워 경쟁적으로 테마파크 조성에 뛰어드는 데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표했다.

조경 한국반려동물진흥원 교육센터장은 "예산이 시급한 문제들이 정말 많은데 지자체들이 조성하는 테마파크는 놀이 시설에 치우친 면이 있다"며 "공공에서 제반 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 없이 놀이 시설에만 치중하면 테마파크가 기존의 문제 양상들이 고스란히 표출되는 새로운 장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개물림 사고, 동물 유기 등 사회적 이슈가 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반려인 교육과 반려동물 등록제도 실질화 등 제도적 보완이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모든 반려동물 정책의 근간인 등록제도마저 강제성 부족으로 법 시행 10년이 가깝도록 실효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조 센터장은 "문화 개선과 교육 없이 대규모 시설이 조성되면 안전 사고, 동물 학대는 물론 동물 유기 등이 테마파크에서 발생할 수 있다"며 "테마파크를 조성해야만 한다면 유기동물 입양센터, 동물문화 교육센터를 함께 지어야 하고 등록이 안 된 동물들은 출입을 금하는 등 최소한의 입장 제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오히려 테마파크처럼 다수의 반려동물이 모이는 곳은 반려동물을 유기하려는 이들의 타깃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동물 등록이 안돼 있거나 등록이 돼 있어도 유기 전에 보호자 인적 사항을 수정한 경우 보호자를 찾기 어렵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반려인과 반려동물들이 모이는 만큼 물림 등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다.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도 "반려인구가 워낙 많으니 반려동물 복지 개선을 위한 지역시설을 늘린다는 취지 자체는 좋다"면서도 "건강한 반려동물 문화를 위한다면 구조·수용 시설 등이 함께 들어가는 게 좋지만 (테마파크를 건설할 때)그게 잘되는 경우를 보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추진 사례를 보면 지자체들은 놀이·오락 시설에 힘을 쏟고 있다.

의성 펫월드의 경우 놀이터, 풀장, 카페, 공연장, 캠핌장 등으로 구성돼 교육·입양·수용 시설은 사실상 없다. 프로그램도 '프리즈비 체험' 등 관광·여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59만5000㎡ 규모로 '국내 최대'가 될 부산 테마파크도 현재 가안상 애견 호텔, 펫용품점, 지역상품 판매장 등 관광에 무게가 실려 있다.

이 대표는 "사업이기 때문에 사람이 많이 와야 하고 더구나 민간사업으로 하다 보면 입찰 과정에서 문화 개선 시설은 제외되기 마련"이라며 "그럼에도 공공이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본래 취지를 고려해 꼭 동물 구조·수용 시설과 입양홍보 시설이 놀이 시설과 같은 비율로 함께 들어갔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