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도 '생성형 AI' 쓴다…보고서 작성하고 법령 찾고

행안부, 모델 개발…내년부터 일부부처 업무에 활용
정확성 중점…범정부 적용은 내년 ISP 수립 때 논의

미국 인공지능(AI) 회사 오픈AI가 개발한 AI 채팅로봇 '챗GPT' ⓒ 로이터=뉴스1 ⓒ News1 김성식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정부가 행정업무용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마치고 현장 실사에 들어간다.

행정안전부는 14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AI, 업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라는 주제로 제25회 워크스마트포럼을 개최하고 민간기업과 개발한 정부 행정용 인공지능 서비스를 공개한다고 13일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 6월 네이버, KT, LG, SKT를 시작으로 총 8개 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번 AI 모델을 개발했다. 지난달 최종 점검을 마쳤으며 내년에 일부 정부·지자체 부서를 중심으로 실제 활용에 나설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부 전용 초거대 AI 어시스턴트 사업이 국정과제로 추진중인 가운데 범정부 AI 구축에 앞서 일부 업무시스템에 선제적으로 AI를 적용해보고자 사업을 추진했다"며 "챗지피티 등 민간 AI와 별도의 모델이 필요한 이유는 행정 문서상 용어가 특화돼있고 결과물의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새로 개발된 모델은 보고서·민원 답변 초안을 작성해주고 공무원이 필요로 하는 법령을 검색해준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모든 초안은 공무원이 재차 검증하고 보완한다.

행안부는 특히 이번 모델이 시중의 민간 AI에서 나타나는 '할루시네이션'(없는 말 지어내기) 현상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정보 범위를 특정 법령 등으로 지정해 ai가 범위 내의 사실 안에서만 자료를 내놓도록 했다.

실무 선에서는 법령 검색 기능으로 '단순 업무'에 드는 시간이 단축돼 행정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사람은 법령 이름을 알아도 그 안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어려운데다 법령 이름을 모르면 더욱 막막하다"며 "유관 법령을 찾아주는 것만으로 실무적 혁신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모델 개발에 따른 비용은 들지 않았다.

기업들이 정부 문서 등 자사 AI를 학습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조건으로 협업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한편 AI 시스템의 범정부 적용은 내년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시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 외에도 구글, LG, SKT, 솔트룩스 등 민간기업이 업무혁신 관련 다양한 사례를 참석자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포럼은 행안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생중계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AI를 행정업무에 적용해 국민에게 더욱 촘촘하고 품질 높은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앞으로도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로 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