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9월 한달간 69개 해외도시에 동행·매력 정책 전파

도시외교전 총력…뉴욕시와 국내 최초 친선도시 협약
런던·파리 등 8개 해외도시에 '기후동행카드' 소개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윤다정 기자 = 서울시는 9월 한 달간 총 69개 해외도시를 대상으로 서울의 동행·매력 정책을 전파하고 새 도시 브랜드 '서울, 마이 소울'을 알리는 전방위 도시 외교전을 진행했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지난달 16~23일 북미 출장에서는 UN을 비롯한 국제기구, 다국적 기업, 문화예술기관이 위치한 뉴욕시와 친선도시 협약을 맺었다. 서울은 한국 도시 중 뉴욕시와 친선교류를 맺은 첫 번째 도시이자 뉴욕의 12번째 친선도시이다.

오 시장은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과 면담하고 약자 동행에 관련한 양 도시의 주요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협력 분야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 애덤스 뉴욕시장은 서울을 방문하고 싶다는 답방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이어 오 시장은 UN기후정상회의와 연계해 개최된 'C40 운영위원회'에 C40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대표로 참석해 런던, 파리, 몬트리올 등 8개 도시 시장과 기후위기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때 해외 도시 시장단을 대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어려운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중교통과 공공자전거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도입 예정을 소개했다.

지난달 24~26일 열린 '제12회 세계도시정상회의 시장포럼'은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로 진행돼 30개국 50개 도시 대표단이 참석했다. 서울시는 리콴유상 수상 도시로 개최 도시 자격이 주어졌다.

시는 시장포럼 참석을 위해 서울을 방문한 9개 도시 대표단과 정책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친선·우호협력을 체결했다. 시장포럼 기간 동안 '포용적이고 회복력있는 미래'라는 주제에 맞춰 서울시와 싱가포르의 핵심 정책을 소개하는 전시관도 운영했다.

베트남 호치민, 대만 타이베이, 카자흐스탄 알마티 등 3개 도시 대표단과의 양자회담도 진행됐다.

호치민시의 판 반 마이 인민위원장과의 면담에서는 스마트 도시, 하천 관리, 도시철도 운영 등 양도시의 우수 정책을 상호 공유하고, 금융·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 협력을 약속했다.

최연소 타이베이 시장이자 장제스의 증손자인 장완안 시장은 서울 방문을 계기로 향후 타이베이시에 '청년국'을 신설하는 등 서울시 '청년행복프로젝트' 벤치마킹 계획을 밝혔다.

중앙아시아 최대 경제 대국인 카자흐스탄의 제1 경제도시 알마티시 대표단과의 면담은 '서울시 정책을 배우고 싶다'는 요청으로 진행됐다. 예르블랏 도사예프 알마티 시장은 서울시의 친환경 교통, 폐기물관리, 스마트도시 정책을 높이 평가하며 정책 전수를 요청했다.

뉴질랜드 웰링턴, 우크라이나 키이우, 아일랜드 더블린 등 3개 도시와는 친선·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했다.

오 시장은 키이우 블로디미르 프로코핍 부시장과 만나 전쟁으로 입은 우크라이나의 피해에 대한 위로를 표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및 전후 복구 지원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다이 데 로샤 더블린 시장은 지난 3월 신규 우호도시 협약 체결 이후 답방해 지속적인 문화 교류, 스마트 정책·기후 대응 등 상호 정책 공유를 이어 나갈 것을 요청했다.

토리 화나우 웰링턴 시장은 그간 집중된 문화 교류는 물론 스마트시티, 영상산업 등에 대한 교류 확대를 요청했다. 웰링턴은 지난 2016년 8월 우호도시 체결 7년 만에 친선도시로 격상하는 체결식을 가졌다.

이외에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대만 가오슝, 벨기에 앤트워프 등 3개 도시의 부시장단과 교류 방안을 모색했다.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세계도시정상회의 시장포럼의 2일차 세션의 좌장을 맡았다.

상을 받는 도시에서 주는 도시가 되어 스마트도시 정책을 세계와 공유하겠다는 목표로, 세계도시정상회의 시장포럼과 연계해 제1회 서울 스마트도시 상의 시상식도 진행했다.

서울시의 시정 핵심 철학인 '약자와의 동행' 가치를 담아 도시 양극화 문제 해소와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는 스마트도시 우수 사례를 선정해 총 21개 도시 및 기관·기업·개인에게 시상했다.

mau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