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임기 반환점 앞둔 윤…'30대 장관'은 언제?
청년은 '국정 동반자'라지만 내각 나이는 63세
공석 여가부 장관 인선 시 30대 앉히는 방법도
- 정지형 기자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청년에게만큼은 매사 진심이다. 취임 후 줄곧 청년을 '국정운영 동반자'라고 칭했다. 실제로 정책 결정 과정에서 청년 행정관들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을 대선 캠프 때부터 지켜본 참모는 "젊은 사람이라고 권한을 적게 주지 않는다"며 "젊은 직원들과 많이 소통하는 대통령인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청년 국정운영 참여 확대는 대선 공약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청년보좌역을 장관급 중앙행정기관 전체로 확대했고 올해는 청년이 참여하는 중앙부처 정부위원회를 221개로 넓혔다.
청년을 항상 가까이에 두려고는 하지만 임기가 반환점 가까이 다가온 현재까지 30대 장관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후보 시절 "30대 장관이 많이 나오게 하겠다"고 공언한 것과 달리 현재 내각 평균 연령은 초기 때보다 더 올라갔다. 한덕수 국무총리(1949년생)를 포함한 1기 내각은 평균 59.8세였지만 현재는 63.1세로 올라섰다. 같은 1951년생(73세)인 유인촌·김문수 장관이 합류하면서 내각은 '올드보이' 성향은 더 짙어졌다.
현실적 불가능하다는 것이 공통된 목소리다. 나이부터가 문제다. 30대 장관이 나올 경우 차관, 실장(1급)과는 나이 차이가 20살가량이 난다. 한 중앙부처 과장급 공무원도 "공직문화를 고려했을 때 30대가 부처를 이끌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실이 인재 풀을 젊은 층으로 구성하려고 시도해 왔지만 좀처럼 내각 평균 나이를 끌어내리지 못한 것도 이런 이유가 작용했을 수 있다. 대통령실은 30대 장관론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전제한 얘기라는 입장이다.
해외로 눈을 돌리면 30~40대 장관뿐 아니라 대통령·총리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마크롱은 만 39세에 프랑스 대통령에 취임했고 트뤼도는 44세에 캐나다 총리에 올랐다. 오바마는 47세에 미국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들이 디지털 플랫폼 정부가 낳은 인물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현실론도 윤 대통령에게는 핑계가 될 수 없다. 불가능에 가깝다던 의사 수 증원에도 나선 윤 대통령이다. 대통령 고유권한인 인사권 행사는 의료개혁보다는 쉬운 일이다.
임기 반환점을 계기로 윤 대통령이 개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행안부 등 장수 장관 교체가 입에 오르내린다. 공석인 여가부 장관을 채울 수 있다는 말도 있다. 야당에서는 인구부 출범을 위한 조건으로 여가부 정상화를 조건으로 걸고 있다. 폐지를 약속한 여가부에 장관을 다시 앉히는 것은 공약을 어기는 모양새가 될 우려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가부에 30대 장관을 기용하는 것도 고려해 봄 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공약 이행이 된다. 다른 부처에 비해 가족과 청년 정책을 담당하는 여가부는 30대에게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기도 하다. 무엇보다 30대 장관 임명은 임기 중반 쇄신 바람을 불러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