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라늄 원심분리기 제작 기술 확보한 듯…농축시설 늘릴 수도

2m 파키스탄 모델보다 높이 낮아져…자체적으로 개량한 듯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3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지를 현지 지도하며 핵탄 생산 및 현행 핵물질 생산 실태를 료해(점검)하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을 늘리기 위한 전망계획에 대한 중요 과업을 제시했다"라고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북한이 핵폭탄의 재료인 우라늄을 농축하기 위한 원심분리기를 제작하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북한이 핵무기를 추가 확보하기 위해 우라늄 농축시설을 확장할 수 있단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3일 김정은 총비서가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지를 찾아 무기급 핵물질 생산에 총력 집중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이들 시설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보인다.

김 총비서는 현지에서 우라늄농축기지 조종실을 돌아보고 생산공정의 운영 실태를 점검했다. 그는 원심분리기들과 각종 수감 및 조종장치 등 모든 계통 요소를 자체의 힘과 기술로 연구개발 도입해 "핵물질 현행 생산을 줄기차게 벌여나가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커다란 만족을 표시했다"라고 신문은 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김 총비서가 원심분리기가 수백 개 이어 붙어있는 캐스케이드를 둘러보는 모습이 담겼다. 원심분리기는 고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해 핵폭탄에 필요한 고농축우라늄을 만드는 장치이고, 캐스케이드는 원심분리기를 수백~수천 개 이어 붙인 것이다. 캐스케이드 단계를 많이 거칠수록 고농축 우라늄(HEU)이 된다.

북한은 1980년대 중반부터 우라늄 농축을 위한 연구개발을 시작해 1983년 원심분리기 원료인 육불화우라늄 생산 공정을 개발했다. 1990년대 이후 파키스탄과의 핵 협력인 '칸 네트워크'를 통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3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지를 현지 지도하며 핵탄 생산 및 현행 핵물질 생산 실태를 료해(점검)하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을 늘리기 위한 전망계획에 대한 중요 과업을 제시했다"라고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칸 네트워크는 파키스탄 핵 개발을 주도한 압둘 카디르 칸 박사가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우라늄 농축 기술을 이란·북한 등에 전달한 게 밝혀지면서 붙은 이름이다.

이때만 해도 북한은 파키스탄 원심분리기 모델로서 높이가 2m가량인 'P1', 'P2'를 활용했는데, 이번에 공개된 원심분리기는 키가 170㎝로 알려진 김 총비서와 비슷한 높이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핵공학 박사)은 "파키스탄 원심분리기 모델보다 좀 작은 걸로 봐서 북한이 자체적으로 개량형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라며 "독자적인 원심분리기 기술을 구축, 앞으로 자체적으로 원심분리기를 만들 능력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이 위원은 "김정은의 지시가 있으면 영변, 강선 외 우라늄 농축시설을 추가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한 건 11월 미국 대선을 고려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미 대선 전후로 제7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날 공개된 시설의 바닥 등 상태를 봤을 때 김 총비서가 새로운 우라늄 농축시설이 아니라 영변, 강선 또는 제3의 장소 등 기존 우라늄 농축시설을 둘러본 것으로 보인다고 이 위원은 덧붙였다.

pej86@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