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북러 정상회담' 한국에 언제 설명할까…'속도'에 한러관계 달렸다
우크라 무기 지원 카드 쥔 韓…미묘하게 北과 온도차 푸틴 선택에 주목
- 노민호 기자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러시아가 북한과 맺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과 관련해 한국 측에 설명을 위한 외교채널을 가동할지 24일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적극성'이 한러관계 갈등 심화와 '관리' 모드 돌입의 가늠자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의 정상회담에서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내용을 담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고 북러관계를 군사동맹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정부는 러시아가 한러관계의 '1차 레드라인'을 넘었다고 판단, 대응 조치로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제공할 가능성까지 열어두며 러시아를 압박했다.
푸틴 대통령은 정부의 입장이 나온 직후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면서도 북러 사이 조약이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고 대(對) 한국 외교를 '관리'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푸틴 대통령은 "한국이 북한을 침공할 계획이 없기 때문에 이런 분야의 협력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라며 '한국의 북한 침공'이라는 상황이 없이는 한반도에 대한 군사개입도 없을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는 김 총비서가 "북러동맹의 역사적 닻을 올렸다"라고 이번 조약 체결을 자신의 외교 치적으로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것과는 온도 차가 있어 보이기도 한다. 푸틴 대통령 입에선 아직 '북러 동맹'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한러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도 아직은 '외교적 공간'이 아직 남아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러시아가 북한에 고도의 정밀무기를 지원하는 것을 사실상의 '2차 레드라인'으로 설정해 다시 러시아에 공을 넘겼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3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강조하고 싶은 건 러시아 측에서 하기 나름이라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분명한 메시지를 던졌다.
러시아는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엔 한국에 관련 내용을 설명한 바 있다.
지난해 9월 말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이 한국을 방한하려고 했으나 무산됐다. 그는 약 4개월 뒤인 지난 2월 방한해 북러관계 진전 등에 대해 우리 측에 설명했다.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이벤트에 대해 주변국에 설명하는 것은 일종의 관례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을 비우호국으로 지정했음에도 '외교적 관례'는 지킨 셈이다.
다만 일각에선 사안의 차이로 인해 이번에 러시아가 한국과의 소통을 시도하더라도 러시아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보기도 한다.
푸틴 대통령은 방북 전인 지난 5일엔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지 않는 한국에 사의를 표하며 한러관계 개선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불과 2주일 만에 김 총비서와 한국의 안보 위협을 고조시키는 조약을 체결하면서 '기만전술'이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일단 러시아가 한국과의 외교적 소통을 얼마나 빨리 진행하려는 지에 따라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주 한미일 3국 첫 다영역 군사훈련인 '프리덤 에지'(Freedom Edge)가 실시될 예정인 가운데 러시아, 북한의 맞대응 수위가 단기적 한러관계 전망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외교 소식통은 러시아 인사의 방한 및 소통과 관련해 "아직 추진되고 있는 건 없다"라며 "북러 정상회담이 끝난 지 얼마 안 됐고 러시아 내부에선 후속 조치 관련 작업에 매진하는 듯하다"라고 관련 분위기를 전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