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설 '솔솔'…NATO 외교장관회의서 한미일 조우에 주목

"3국 외교장관 회의장서 '대면'…정상회의 논의 가능성도

조태열 외교부 장관./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이번 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다. 한미일 정상회의가 7월에 열릴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한미일 3국 외교수장이 대면해 관련 논의를 진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3~4일(현지시간) 일정으로 열리는 이번 나토 외교장관회의 중 '아시아·태평양 파트너국'(AP4.한국·일본·뉴질랜드·호주) 자격으로 4일에 개최되는 '동맹국·파트너국' 세션에 참석한다.

한국이 나토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는 건 이번이 세 번째다. 2022년엔 당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지난해엔 이도훈 외교부 제2차관이 참석한 바 있다.

외교부는 "이번 나토 외교장관회의에서는 나토 동맹국을 비롯해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파트너국,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EU) 등이 참석한다"라며 "우크라이나 상황과 신흥안보 위협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조 장관의 이번 회의 참석과 관련해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NATO와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고 초국경적 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구체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조 장관은 이번 회의 참석을 계기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을 비롯해 주요국 외교장관과 양자 면담을 가질 계획이다.

이에 일각에선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3국 외교수장이 대면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는다. 현재까지 3국 중 참석이 확정된 건 조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다.

일본 정부는 아직 가미카와 외무상의 회의 참석에 대한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외교가에선 참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한미일 3국 외교수장은 지난 2월 22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대면회의를 가진 바 있다. 이는 지난 1월 조 장관 취임 후 첫 3국 외교장관회의였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 2월22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2024.2.23/뉴스1

한 외교 소식통은 "나토 계기 3국 간 외교장관회의 개최를 위해 외교채널을 통한 조율 작업이 있었던 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귀띔하며 이번에 '정식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높진 않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일각에선 정식 회담이 어렵더라도 동맹국·파트너국 세션 등의 참석을 계기로 3국 외교장관들이 회의장에서 짧은 대화를 나눌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관측을 내놓는다. 특히 7월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서다.

지난달 31일 교도통신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오는 7월 미 워싱턴DC에서 열 예정인 나토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를 현재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한미일 3국 정상들은 지난해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연례적으로 3국 정상 간 협의를 갖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올해도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 문제는 3국 간 지속 협의해 오고 있다"라면서도 "현재 4월 이후 해외 순방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과 나토는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양측 간 안보협력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별 맞춤형 파트너십 프로그램(ITPP)'을 체결하는 등 협력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2022년 5월엔 나토 사이버방위센터(CCDCOE) 정회원으로 가입했고, 같은 해 6월엔 벨기에 브뤼셀에 주나토 대표부를 설치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북러 군사협력 심화 등 국제정세가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나토와 안보 연계에 대한 논의가 이번에 이뤄질지도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나토는 지난 2022년 채택한 새 전략개념에 '전통적 위협'인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해서도 '동맹과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바 있다.

ntig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