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탄·반탄' 갈등 봉합 국힘…尹 거리조절 실패 땐 재점화

당론 어기고 탄핵 찬성 불문 부치기로…일단 '대선 우선론'
찬탄 "절연 없인 필패" 반탄 "분열 안돼"…지도부 입장 없어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사무처당직자 조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5.4.7/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사무처당직자 조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5.4.7/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문제가 됐던 당 내홍을 덮고 넘어가기로 한 것은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분열만큼은 피해야 한다는 판단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당한 후 당이 쪼개지며 속수무책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정권을 내준 과오를 다시 범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당 회의에서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안을 처리하며 두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경선이나 대선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당 행위에는 "엄격하고 가혹하게 처리"하며, 주요 당직자가 경선 캠프로 갈 경우 직을 내려놔야 한다는 것이다.

당 안팎에서는 권 위원장이 해당 행위를 언급한 것을 두고 사실상 찬탄파(탄핵 찬성파)를 향한 조치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윤 대통령 파면 후 친윤(친윤석열)계 의원을 중심으로 찬탄파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달아 나왔다.

국민의힘이 정국 수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전날 개최한 비상의원총회에서도 강민국 의원과 박상욱 의원 등은 조경태·김상욱 등 찬탄파 의원을 거론하며 비판 목소리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12월 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채택했으나 일부 의원들이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찬성표를 던지며 국회에서 가결됐다.

당론을 어기고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이 탄핵안에 찬성하며 결국 대통령 파면을 초래한 것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게 친윤계 주장이다.

하지만 권 위원장이 이전 일은 불문에 부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만큼 이른바 찬탄파와 반탄파 간 갈등은 수면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나 당에서 배출한 대통령이 파면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국민의힘으로서는 내홍까지 계속될 경우 비판 여론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친윤계 권영진 의원도 이날 KBS라디오에서 찬탄파 징계 문제에 관해 "우선은 조기 대선을 잘 치르고 생각할 문제"라며 "분열하면 필패"라고 했다.

권 위원장은 당 회의가 끝난 뒤 사무처 당직자 조회에 참석해 대선에 대비해 '한마음'을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윤 전 대통령과 관계 설정을 놓고 당 안팎에서 이견이 나오고 있어 뇌관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은 모습이다.

당장 찬탄파에서는 "절연하지 않으면 필패"(조경태), "출당은 당연"(김상욱) 등 윤 대통령을 당에서 내보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탄핵 반대에 앞장섰던 윤상현 의원은 "과거에도 위기 시에 대통령과 절연을 통해 위기를 탈피하려 한 적이 여러 차례 있다"며 "절연보다 무서운 것이 분열"이라고 반대 목소리를 냈다.

지도부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대통령과 관계는 물 흐르는 대로 가야 한다"며 "여론과 지지자 마음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보고 결단할 것이 있으면 판단해야 될 것"이라고 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과 관계는 경선 후보들이 결정할 문제"라며 "각 후보가 어떻게 관계를 설정하는지에 따라 당원들이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kingko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