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휴대폰 안 훔쳐가지만 시골은 다르다…농축수산물 절도 매년 증가

연간 피해액 83억원…경기 5년간 67억원 전국 최다
경찰 절도 집중 단속은 감축…"치안 예방책 필요"

충북 증평군 남자리 일원에서 올해 첫 벼 베기를 시작했다. 이날 수확한 벼는 조운벼(조생종)로 밥맛이 좋고 특히 내재해성에 강한 국산 품종이다.(증평군 제공)2024.9.3/뉴스1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전국에서 매년 평균 83억 원에 달하는 농·축·수산물 절도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경찰청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3년 사이 전국에서 발생한 농·축·수산물 절도 피해액은 총 415억 3639만 원으로 집계됐다.

매년 평균 피해액은 83억 728만 원 수준으로, 경기도에서 지난 5년간 총 67억 4000여만 원의 피해액이 발생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밖의 지역에서 5년간 발생한 총 피해 액수는 △강원(54억 3275만 원) △전남(45억 2931만 원) △경북(41억 2303만 원) △충남(35억 4769만 원) △경남(29억 5145만 원) 순서로 많았다.

경찰청이 농임산물·축산물·수산물 절도 피해 유형을 구분해 집계했던 2019~2022년 사이 유형별 절도 피해액은 전 부문에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 전국 농임산물 절도 피해액은 4년 전이었던 2019년 대비 약 28% 더 증가했다. 같은 기간 축산물 피해액 역시 약 8%, 수산물은 약 500%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절도 피해액이 가장 컸던 경기도에서는 농임산물 총 53억 7203만 원, 축산물 총 5억 9488만 원, 수산물 총 2812만 원어치의 피해를 봤다.

농어가를 대상으로 하는 범행은 주로 논·밭에 있는 재배 농작물을 훔쳐 가는 이른바 '들걷이'와 가축을 훔쳐 가는 축산물 절도, 수확물을 통째로 절도하는 창고털이 방식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연간 농축수산물 절도 피해가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지만 농어촌 지역은 관할 면적이 넓고 방범 활동이 어려워 절도 예방과 검거가 쉽지 않다.

특히 농축수산물 절도만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집중 단속 기간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경찰이 강도·절도 단속 기간에 집중 대응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기간이 단축돼 추가 예방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경찰의 강도·절도 집중단속 기간은 △2021년 184일 △2022년 161일 △2023년 157일 △2024년(예정) 152일로 감소 추세다.

이만희 의원은 "1년간 고생한 수확의 결실이 눈물로 변질되지 않도록 농정당국과 치안 당국 간의 긴밀한 정책 공조를 통한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