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김영우 새누리당 의원 "당청관계 바로 서야"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새누리당 김영우 의원이 8일 여의도 새누리당 중앙당사 기자회견장에서 전당대회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새누리당 당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는 7월14일 개최될 예정이다. 2014.6.8/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figure>김영우 새누리당 의원은 8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14 전당대회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당내 비박(非박근혜)계 쇄신파로 재선인 김 의원은 회견에서 "이번 전당대회가 친박 진영의 맏형과 비박 진영 좌장의 대결로 가서는 안된다. 그런 전당대회는 당원과 국민이 원하지 않는다"며 유력 당권 주자인 서청원·김무성 의원의 전당대회 불출마를 요구했다.

다음은 김 의원과 일문일답.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의 불출마를 요구했는데 개인의견인지, 당내에 그런 의견 많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제가 만난 많은 일반 국민들은 지금 우리나라가 처한 위험한 상황, 시국의 타개를 위해서는 정치권의 개혁이 가장 필요한 거 아니냐고 말하고 있다. 정치권이 바뀌기 위해서는 결국 새로운 생각, 새로운 철학,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다. 제가 볼 때 다선 의원들이 경륜과 지혜, 능력이 많다. 하지만 이분들이 다시 전당대회에 나오게 되면 전당대회 자체가 결국 줄세우기 정치, 계파정치, 친박 맏형 대 비박 좌장의 대결이 된다. 결국 흙탕물 싸움이 될 것이다. 그렇게되면 결국 국민들이 바라는 정치권의 개혁은 요원해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두분께 간곡하면서도 정중하게 부탁 드린 것이다.

-출마하면서 새롭게 뭔가 하시려고 하는것은

▶두분께 간곡하게 부탁드린다는 두 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선거캠프를 차리지 말라는 것과 2016년 공천권 포기를 선언하라는 것이다. 저는 선거사무실를 차릴만한 여유도 없다. 그리고 예전에 비해서 우리 국회의원 사무실 사정이 좋아졌다. 국회의원회관 신관 짓고 평수도 넓어져서 그곳을 선거캠프로 활용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공천권이 가장 중요하다. 줄세우기 정치, 구태 정치가 사라지기 위해서는 공천권이 당원과 국민들에게 되돌아 가는 게 맞다. 앞으로 국회의원 공천이 정말 중요하다. 공천제도가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구태 정치는 계속될 것이다.

-당청관계에 대한 생각은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필요한 게 당청관계다. 지금도 사실 청와대 발로 많은 개혁안 쏟아지고 있다. 국가개조론도 그렇다. 저는 제대로 된 당청관계가 바로서지 않으면 우리 정치를 바꾸기 힘들다고 본다. 지난 번 이완구 원내대표께서도 원내대표 되시자 마자 일성으로 당청관계의 긴장 필요성을 언급했는데 그 말이 맞다고 본다. 일방적으로 청와대에 끌려간다던지 대통령 뒤에 숨는, 자생력 없는 새누리당 이미지 갖고는 우리 정치권이, 특히 우리 여당이 국민의 신뢰를 받기 어렵다.

-또 다른 대표 후보군이 있는지, 친이계에서 거론되는 당권 후보는 있는지. 그리고 전당대회 결심하게 된 계기는?

▶이번 전당대회를 구태의연한 계파정치, 박심정치로 치른다는 것은 비극이다. 이것은 곧 국민들에게 굉장히 서글픈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정치라고 하는 것이 완벽하게 계파를 떠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럴 상황 아니다. 저 같은 재선의원 정도야 남들 줄세우기 시킬 수 있는 능력도 없고 그럴 수도 없다. 김무성 서청원 의원 그 두 분은 다르다. 계파정치의 폐해를 놓고 우리가 정치를 바꿔보겠다고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제가 나선 이유는 그거다. 우리 새누리당, 부자정당 웰빙정당이란 이미지 있다. 아무리 좋은 법안과 정책을 만들어도 국민들, 특히 203040대 젋은 층이 우리 새누리당에게는 등을 돌린다. 이번 지방선거 결과를 보면 극명하게 나타났다. 그 원인은 당 지도부의 얼굴이라고 생각한다. 지도부가 판사, 검사, 변호사, 재벌 출신이었다. 이렇게 해서는 국민들의 마음을 얻기 어렵다. 그렇다면 서민의 고통을 잘 아는 서민 출신의 40대 젊은 일꾼이 당 지도부에 들어가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제가 어려운 결단을 하게 됐다.

baeba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