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구매해 소프트웨어만 변경…북한 스마트폰 실상"

RFA "팬데믹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 2배로 증가"

(평양 노동신문=뉴스1) = 수해 복구에 투입된 인민군들이 휴대전화로 위문편지를 읽고 있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북한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출시한 스마트폰 대부분이 중국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기기에 북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5일 보도했다.

미국 스팀슨 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은 지난 24일 열린 '북한의 2024 스마트폰(지능형 손전화) 간담회'에서 "지난해 말 평양에서 열린 '경공업제품전시회'에서 새로운 기업의 휴대전화 기기들이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회사에서 만든 휴대전화에 북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북한이 중국 대형 제조업체로부터 휴대전화를 구매해 자체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자신들의 브랜드명을 붙인다는 것이다.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은 지난 2022년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봉쇄됐던 북한 국경이 열리면서 새로운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한에서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수가 두 배로 증가했다고 했다.

현재 북한엔 10가지의 휴대전화 브랜드가 있는데, 아리랑, 청송, 화원, 길동무, 진달래, 푸른하늘, 삼태성 등이다. 윌리엄스 연구원은 특히 촬영 기능이 우수해 인기가 많은 '청송' 휴대전화는 중국 '화웨이'의 휴대전화와 외형이 상당히 비슷하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지난 2020년 비밀리에 북한 통신망을 지원해 대북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미국 법무부에 기소당한 바 있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개업한 평양의 '류경금빛상업중심'이란 상업지구에 화웨이 매장이 들어선 정황도 나타났다.

윌리엄스 연구원은 최근 북한이 3세대 통신망보다 빠른 4세대 통신망을 도입한 것으로 추측했다. 다만 스마트폰이라고 해도 북한에선 광범위한 인터넷 사용이 제한되고 백과사전이나 날씨 정보 등 제한적인 내용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윌리엄스 연구원은 "이는 정부에서 발행하는 뉴스와 동영상으로 많은 선전이 가능한 여건이 조성됐다는 것"이라며 "4세대 통신망에선 감시카메라,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 간 연결성이 개선돼 사용자를 추가로 감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youm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