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권 상업지 강남 수준으로 키운다…대형 '노는 땅'엔 기업 유치

서울시, 도시 대개조 2탄 발표…11개 자치구 대상
최대 1.92㎢ 상업 총량제 폐지…'화이트 사이트' 도입

오세훈 서울시장이 28일 오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신년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취채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4.2.28/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서울 강북권이 상업 지역 총량제 제외 지역이 된다. 상업 지역 면적을 1.92㎢까지 추가 지정할 수 있는 기존 규제를 풀었다. 낙후된 이 지역을 지금의 2~3배 규모로 강남 수준까지 키운다는 '대개조 구상'이다.

또 강북권 대규모 유휴 부지에는 사업 시행자가 원하는 용도와 규모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균형발전 화이트 사이트'(사전 협상제) 제도가 서울시 최초로 도입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6일 오전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도시 대개조 프로젝트 2탄 '강북권 대개조 구상'을 발표했다.

규제 완화 대상은 동북권 8곳(강북·광진·노원·도봉·동대문·성동·성북·중랑)과 서북권 3곳(마포·서대문·은평)을 포함한 총 11개 자치구다.

강북권에는 서울 인구의 43%에 이르는 448만 명이 살고 있다. 서울 전체 면적의 40%를 차지하지만, 50여 년간 베드타운(잠만 자는 지역)에 머물렀다.

지역내총생산(GRDP)도 최하위(동북 50조·서북 33조)였다.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도 46%가 강북권에 모여있다.

서울시는 강북권 대개조를 위해 강북지역에서 상업지역 총량제를 폐지한다. 상업지역 총량제는 지역별 상업지역 지정 가능성 예측을 위해 2030년까지 지역별로 총량을 정하고, 해당 범위 안에서 상업지역을 지정하는 제도다. 현재 상업 지역에서 면적을 늘릴 수 있는 범위가 최대 1.92 ㎢로 규정됐다.

현재 강북권은 상업지역이 미약하다. 동북권(343.1만㎡)과 서북권(176.2만㎡)을 합쳐도 △도심권(814.8만㎡) △동남권(627.1만㎡) △서남권(615.8만㎡)보다 규모가 작다.

시는 강북권 상업 지역 규모를 지금의 3배까지 키운 뒤 강남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유휴부지에 첨단 기업과 일자리 창출 기업을 유치하려고 균형발전 화이트 사이트를 도입한다.

제도의 핵심은 기존 도시 계획으로 개발이 어려운 곳을 시행자가 원하는 용도와 규모로 개발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적용 대상은 △창동 상계 △신내 차량기지 일대 △옛 서울혁신파크 부지 △수색 차량기지와 상암 DMC(디지털 미디어 시티) 일대(DMC 2.0)다.

서울시는 강북권 주거지에 재건축·재개발 규제를 풀고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상계·중계·월계 등 30년 이상 노후단지는 안전 진단 없이 재건축 착수가 가능하도록 손질한다. 지역 127개 단지·약 10만 세대가 빠른 시일내시일내 정비 사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높은 용적률(토지 면적 대비 층별 건축 면적 합계의 비율)로 재건축이 불가했던 65개 단지·4만2000여 세대의 경우 용적률이 법적 상한의 120%로 늘어난다.

재개발 요건인 '노후도' 역시 현행 전체 건축물의 67%에서 60%로 완화된다. 폭 6미터(m) 미만 소방 도로를 확보하지 못한 노후 저층 주거지도 재개발 대상에 포함된다. 이 경우 개발가능지역이 현재 286만㎡에서 800만㎡로 2.8배 이상 늘어난다.

높이 제한으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던 자연경관 고도지구에도 변화가 생긴다. 허용 높이가 기존 3층에서 약 7층(20m)까지, 고도지구는 20m에서 45m까지 높아진다.

강북권 주민 누구나 20분 내 숲·공원·하천에 갈 수 있는 '보행일상권 정원도시'를 조성한다. 경의선숲길 보행네트워크과 백련근린공원 힐링공간 재조성도 추진하고, 2025년까지 자치구별 1개 이상 수변활력거점을 조성한다.

오 시장은 "강북권이 베드타운에서 벗어나 일자리와 경제가 살아나고 활력이 넘치는 신경제 도시가 되고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견인하도록 파격적인 규제 완화와 폭넓은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