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이태원 참사도 품었다'…44주년 5·18전야제 추모 열기 절정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시민사회, 정치인 등 1만 명 참석

17일 오후 전남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시민들이 44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 민주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광주=뉴스1) 김동수 이수민 기자 =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금남로는 '기념식의 꽃' 전야제가 열리면서 추모 열기가 최절정에 달했다.

올해 전야제는 제44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 기조인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에 맞춰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 유가족까지 품으며 화합과 통합의 메시지를 전했다.

전야제는 오월시민난장 '해방광주'와 민주평화대행진, 5·18정신계승 풍물굿 등 식전 행사로 시작했다.

오전 11시부터 진행한 자유로운 난장 '해방광주'는 오월정신을 기억하고 시대정신을 표현하는 다채로운 부스 행사로 꾸렸다.

오월단체와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은 44년 전 오월의 아픔과 대한민국 참사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공감하며 모두가 함께 어울려 평등하게 살아가는 대동세상을 외쳤다.

일본에서 온 '일어서라! 합창단 일본 우타고에 운동' 단체 회원들은 오월어머니집 부스를 찾아 오월어머니를 위로했다. 이 단체는 1999년부터 매년 오월이면 20여 명이 모여 전야제에 참석해 오월의 아픔과 상처를 함께했다.

야마다 히로끼 일본 우타고에 운동단체 사무처장은 "일본에서 노동과 문화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단체를 만들었다"며 "매년 올 때마다 어머니들께서 주먹밥도 챙겨주고 반겨준다. 오월은 우리의 고향과 같다"고 했다.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전야제에서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참가자들이 민주평화대행진을 펼치고 있다. (공동취재) 2024.5.1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는 "우리를 기억해달라"며 유가족과 참사 피해자 친구들의 메시지가 담긴 영상을 상영하고 '10·29 이태원참사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참사 피해자인 고 김재강 씨(당시 29세) 아버지 김영백 씨(64)는 "아들을 잃은 아픔은 절대 잊히지 않는다"며 "대한민국 참사로 희생된 이들, 우리 오월 유가족들과 아픔을 함께하고 서로 위로하고 공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5·18민주항쟁기동타격대동지회,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오월심리치유이동센터, 광주전남대학생진보연합, 광주기독교청년회유지재단 등도 현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오월을 알렸다.

오후 5시쯤 민주평화대행진 참석자들이 속속 금남로 광장에 도착했다. 민주평화대행진은 80년 5월 14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의 금남로 진출투쟁으로 시작된 '가두행진'을 재현하는 행사다.

이들은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 쟁취', '5·18왜곡 근절' '5·18진상규명' 등 플래카드와 피켓, 깃발 등을 휘날리며 행진했다.

평화행진 선두에는 전국노동자풍물패와 (사)한천굿사랑, 광주노동자풍물패 등 581명으로 구성된 오월풍물단이 흥을 돋웠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광주전남 총선 당선인들을 비롯해 박찬대 원내대표, 정청래 수석최고위원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도 출동해 광주시민들과 함께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가 5·18 민주화운동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공원일대에서 출발해 금남로까지 오월가족들, 민족민주열사가족들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과 함께 5·18 민중항쟁 민주평화 대행진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5.1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기념행사의 꽃 '전야제'는 오후 7시 전일빌딩245 앞 특설무대에서 약 1만 명의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이태원 유가족과 세월호 유가족을 위로하는 시각예술무대와 인권·민주·오월을 상징하는 3개의 메인무대에서 '언젠가 봄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를 주제로 공연이 펼쳐졌다.

전야제는 오월가치 실현을 담은 '광주선언 2024'를 발표하며 절정을 이뤘다.

광주선언은 전야행사에 참여한 광주시민과 오월 광주를 찾아온 전국의 민주시민, 국제사회, 국내외의 '또 다른 오월'과 사회적 소수·약자와 머리를 맞대고 서로 연대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선언에는 오월단체와 여성단체, 세월호와 이태원 유가족, 장애인 단체, 청소년, 해외 연대단체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오월정신은 불의에 맞서 저항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한 숭고한 가치와 함께 주먹밥과 헌혈로 대변되는 나눔과 대동정신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 "오월정신은 눈앞에 놓인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고, 그 불안을 종식해 평화와 통일을 향해 나갈 우리 공동체의 소중한 자산이자 저력임을 선언한다"며 "반복되고 있는 5·18에 대한 왜곡과 오월정신 훼손을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오월가족들과 민족민주열사가족들, 제주4.3, 여순, 부마 가족들, 세월호 유가족,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5·18 민주화운동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공원일대에서 출발해 금남로까지 5·18 민중항쟁 민주평화 대행진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5.17/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시민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5·18유공자 송점진 씨(83)는 "전야제와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오늘 전남 고흥에서 올라왔다"며 "매년 행사에 찾아오지만 올 때마다 오월의 아픔과 상처가 고스란히 기억난다"고 했다.

그러면서 "80년 오월은 국가 폭력에 희생당한 뼈아픈 시절이었다"며 "현 정부도 하루빨리 5·18 헌법 전문 수록에 관심을 갖고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5·18 민주화운동이 전국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선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장에서 동영상 촬영 중이던 광주 시민 김민경 씨(26)는 "학창 시절에 오고 7~8년 만에 전야제를 찾는 것 같다"며 "광주시민으로서 오월을 알리기 위해 영화 '서울의봄'과 같은 전국민들의 관심을 끌 만한 콘텐츠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김재찬 씨(35)도 "오월 전야제도 좋지만 오월의 배경을 제대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영화들이 자주 나와야 한다"며 "보수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오월 행사가 다소 위축되는 경향이 있는 거 같아 아쉽다"고 했다.

brea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