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 1000원' 광주역~광주송정역 셔틀열차, 17일 운행종료

현 디젤열차 안전성 문제로 연장운행 불가
신형 투입땐 운영비 4배(15억→60억) 폭증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을 오가는 '광주선 셔틀열차'.(광주시 제공)/뉴스1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을 오가는 '광주선 셔틀열차'가 7년 만에 운행을 종료한다.

광주시는 2016년부터 하루 30회 왕복 운행한 '광주선 셔틀열차'를 17일 운행 종료한다고 12일 밝혔다.

셔틀열차는 KTX의 광주역 미진입에 따른 고속열차의 환승편의를 위해 2016년 12월부터 운행했다.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엔진의 CDC(Commuter Diesel Car)로 통근열차로 분류됐다. 이용요금은 1000원으로 열차 종류 중 가장 저렴하다.

광주역~극락강역~광주송정역 14㎞ 구간을 15분 만에 연결해 어떤 교통수단보다 빠르고 정시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셔틀열차는 광주시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협약을 통해 위탁방식으로 운행했다. 코레일이 열차운행을 맡고, 광주시는 매년 15억원의 운영비를 부담했다.

하지만 168석 규모 셔틀열차의 1회 평균 탑승객이 20명 미만으로 이용률이 저조해지면서 저효율·고비용의 대표적 예산낭비 사례로 지적받았다.

지난 9월, 코레일은 12월18일부터 셔틀열차 운행 종료를 통보했다. 코레일은 셔틀열차 이용객 저조(1회 평균 18명), 시내버스 등 대체교통수단 충분, CDC 폐차 등을 이유로 들었다.

광주시는 셔틀열차 지속 운행을 위해 2021년부터 국토부, 코레일과 수십차례 협의를 통해 CDC 연장 운행 또는 누리로, 신형열차(EMU-150) 등 대체열차 투입을 요청했으나 투입 가능한 열차가 없었다.

현재 운행 중인 CDC열차는 내구연한(25년)을 초과해 안전성 문제로 연장운행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다른 대체수단으로 요청한 누리로(전동차)는 광주지역에 차량정비 시설이 없는 데다 차량 여분도 없어 투입이 불가능했다.

신형 EMU-150(전동차)는 대체투입할 경우 이용요금이 1000원에서 4800원으로 상승하고 운영비도 15억원에서 60억원으로 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3만원가량 내고 셔틀열차를 이용하는 셈이다.

광주시는 도시철도 1호선 열차를 개조해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전류방식이 달랐다. 1호선 전동차에 적용된 직류(DC) 방식을 교류(AC)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하는데 개조비용만 100억원 이상 소요되고 열차 개조에 따른 국토부 승인도 불확실해 결국 중단을 결정했다.

셔틀열차 운행을 중단해도 광주역~광주송정역 구간의 교통수단은 충분하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시내버스 좌석02번, 송정19, 송정98 등이 운행되고 있고 광주역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양동시장역 등 가까운 지하철역으로 이동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2026년 도시철도 2호선 1단계가 완공되면, 광주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지하철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광주선 셔틀열차가 종료돼도 현재 운행 중인 무궁화호 12편과 새마을호 8편은 유지된다. 정비창이 광주역에 있어 차량정비를 위한 광주선 이용과 광주역 기능도 지속된다.

광주선과 광주역은 향후 국가철도사업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된다.

2030년 이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광주·대구달빛철도는 광주송정역에서 출발해 광주역을 거쳐 담양으로 빠져나간다. 부산과 연결되는 경전선은 2030년 전철화 사업이 완공되면 광주역에서 출발해 광주송정역을 거쳐 나주로 이동하게 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열차가 현재처럼 지상으로 운행되면 도심구간을 단절시켜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소음·분진, 안전사고 발생 등의 문제도 우려되는 만큼 선로를 지하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내년에 20억원을 투입해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