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례품만 5000여종…'고향사랑 기부제' 인기폭발 답례품은?

활 전복·갓김치 등 지역특산품 1순위…지역경제 활성화 도움
네이밍 도네이션·1박2일 여행권·씨름선수 데이트 등 각양각색

자신이 거주하는 곳을 제외한 고향이나 다른 지역에 기부하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새해 첫 시행됐다. 기부하면 세액공제와 기부금액의 30% 이내 답례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광주=뉴스1) 최성국 김동수 정다움 이수민 기자 = 올해 본격 시행된 고향사랑 기부제에 전국 지자체가 마련한 답례품이 5000여종에 달하는 가운데 광주·전남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답례품이 관심이다.

8일 광주시와 전남도, 22개 전남 시·군에 따르면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자신의 주소지 이외의 지방자치단체(고향 등)에 500만원 한도에서 기부하면, 지자체는 주민복리 등에 사용하고 기부자에게는 세제혜택과 기부금액의 30% 이내에서 답례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다.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은 기부 의사를 밝힌 기부자가 기부금을 입금할 가상계좌를 발급 받으면서 함께 선택할 수 있다.

각 지자체가 마련한 답례품은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지역 특산품이 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답례품으로 꼽히고 있다.

고향사랑 기부제는 기부자에게 지역 특색에 맞는 특산물을 답례품으로 제공, 농가·축산농가·수산어가 등의 판매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정책적인 측면도 제대로 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기준 나주시의 경우 나주배, 담양군은 떡갈비, 영광군은 굴비, 완도군은 활 전복, 강진군은 한우, 여수시는 갓김치, 광양시는 매실, 보성군은 키위와 꼬막, 곡성군은 흑돼지 삼겹살, 목포는 홍어와 민어, 고흥군은 분청도자기가 기부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모두 해당 지역의 특산물들이다.

광주시에 기부한 참여자들도 주로 '농축산물 꾸러미'를 선택하고 있다. 이 꾸러미는 지역 농가들이 기른 감자, 토마토, 각종 채소 등으로 구성돼 있다.

화순군은 '온라인 쇼핑몰 농특산물 사이트 포인트'를 유일한 답례품으로 두고 있다. 기부자들은 기부금의 30%를 해당 사이트 포인트로 받아가 자유롭게 구매 가능하다. 이 홈페이지에선 화순이 원산지인 여러 농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지역발전에 이바지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의 취지에 걸맞게 지역상품권도 인기 품목이다.

순천시의 경우 기부자 30명 중 11명이 답례품을 신청했는데 이 중 대부분이 지역사랑상품권을 답례품으로 요청했다.

구례군과 장흥군도 지역사랑 상품권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색 답례품이 인기를 끄는 곳들도 있다.

광주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기부자의 이름을 새겨주는 '네이밍 도네이션'을 도입했는데 해당 답례품은 앞으로 가장 선호하는 답례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밍 도네이션은 10만원 이상 기부자가 본인 또는 가족, 친지 등 희망하는 이름을 1991년에 개관한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좌석에 새겨주는 프로젝트다.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좌석은 1900여석 정도로 답례품이 한정될 수밖에 없어 문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암군은 '천하장사와 함께 하는 식사권'을 답례품으로 올렸다가 이달 중 씨름대회가 열리는 점을 고려해 답례품 명단에서 현재 배제해 놓은 상태다. 영암군 내에서는 이 답례품이 SNS 등을 통해 이슈를 만들고 있어 추후 가장 선호하는 답례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함평군의 경우 자동차 극장예매권이 선호되고 있고, 장성군에서는 '백양사 템플 스테이'와 '산소 벌초 서비스'가 인기다.

백양사 템플 스테이는 월~금요일 사이 1박2일 동안 기부자에게 백양사 힐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벌초를 선택한 기부자는 산림조합과의 논의를 통해 원하는 시기에 무료 벌초를 받을 수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답례품이 워낙 다양하고 고향사랑 기부제가 시행된 지 초기라 참여 방법과 선호하는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묻는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최근 가족 구성이 주로 4인 미만이기 때문에 지역 먹거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부제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star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