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허리 아프면 모두 디스크?…'척추관 협착증' 의심해야

유채민 대전우리병원 척추센터 진료원장

유채민 대전우리병원 척추센터 진료원장.(우리병원 제공)/뉴스1

최근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요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러나 인터넷이나 주위의 의견만 듣고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을 구분하지 못해 잘못된 운동법이나 민간치료를 시도하다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을 구분해 정확한 치료를 해야 한다.

허리디스크의 정확한 병명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10대 후반~20대 초반부터 시작되는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부터 시작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척추와 척추뼈 사이의 추간판이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해 허리 및 골반, 다리에 통증을 일으킨다. 젊은 사람들에게도 흔히 나타나고 특히 앉거나 누웠을 때 허리에 받는 압력이 세지면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나이가 들며 황색인대가 두꺼워지고 퇴행성 디스크가 밀려나와 척추관 및 추간공이 좁아지면서 요통 및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허리와 엉덩이에 통증이 있지만 점차 시간이 흐르면 다리가 저리고 무거운 증상이 나타난다. 평균적으로 50대 이상에서 나타나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해 30~40대에도 발병할 수 있다.

두 질환의 간단한 차이점은 허리디스크의 경우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지만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젖히거나 걸을 때 통증이 많이 발생하는 점이다.

집에서 간단한 자가 테스트를 통해 두 질환을 가늠해볼 수도 있다. 누워서 다리를 편 채로 위로 들어 올릴 때 허리 디스크의 경우 45도 이상 들어 올리기 힘든 반면 협착증의 경우 60도 이상 올라가도 큰 무리가 없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두 질환을 구분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단과 함께 MRI, CT 검사가 필요하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초기에는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상태를 충분히 호전시킬 수 있다. 보존치료는 진통제, 근육이완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과 자세교정, 도수치료 등을 병행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물리치료가 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다면 신경성형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도 적극 고려해볼 수 있다. 신경성형술은 꼬리뼈 부위로 작은 주삿바늘 같은 카테터를 넣어 신경을 압박하는 추간판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시술이다. 국소마취로 시행하고 절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에 비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로도 나아지지 않고 근력저하, 마비, 대소변 장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시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질환은 뼈와 근육, 신경 등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또 평소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체중조절을 통한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늦추고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기립근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zzonehjsi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