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호 부산센텀종합병원 이사장 "응급실 뺑뺑이, 병원간 정보 공유 필요"

"전공의 문제,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
"대학병원의 기능 회복, 의료전달체계 재정립 시급"

박종호 센텀종합병원 이사장이 5일 병원 이사장실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4.9.5. 손연우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시작된 의정갈등이 6개월이 지나면서 의료 현장 곳곳에서 번아웃 징후가 나타나고 있으나 사태 해결의 실마리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박종호 부산시 병원협회 회장이자 센텀종합병원 이사장은 5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전공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는 교수와 간호 인력도 더이상 버틸 수 없는 상태에 다다랐다"고 걱정했다.

그러면서 "비교적 사회적 경험이 적은 전공의들이 정부에 맞서고 있는데 이를 조정하는 기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며 "병원협회나 리더그룹 등이 정부나 기관과의 협상에 나서 협의점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료보험이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뒤 환자 수는 급증했으나 의사들은 적정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도한 업무를 지속해왔다"며 "오랫동안 축적된 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이번 사태는 봉합되지 않은 채 환자들의 피해만 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1977년 국민건강보험(당시 명칭 의료보험)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10여 년 만에 전 국민에게 확대 적용되면서 의료체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환자들 입장에선 병원 문턱은 낮아졌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심화하면서 의료진의 고충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종호 부산센텀병원 이사장이 병원 핵의학과 개소식에서 발언하고 있다.(부산센텀병원 제공)

다음은 박 이사장과의 일문일답.

-전공의 사태를 겪으면서 대학병원의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대학병원이 무분별하게 진료 영역을 확대하고 외연을 확장하다 보니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임무가 소홀해지고 경영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전공의들은 적은 급여를 받고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됐고, 교수들도 피로가 누적된 상태로 진료하고 있다. 대학병원은 중환자실과 특수·희소 질환에 집중하고 나머지 분야는 일반병원이 맡도록 해야 한다. 교수들은 적정 부분에 대해서만 진료하고 교육과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말이다.

-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심각하다. 병원협회장으로서 어떻게 생각하나.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대학병원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연락을 취하고, 이송 중 대학병원에서는 수술팀을 준비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가동돼야 한다. 부산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적어도 인근 울산과 경남지역 병원끼리는 각 병원마다 어떤 진료과 의사가 배치돼 있는지, 야간 당직 병원이 어딘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부산시병원협회장이 된 뒤 가장 먼저 부산시장을 만나 이런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협회 차원에서 관련 정책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환자들이 2차병원으로 몰리고 있는데, 센텀종합병원 상황은.

▶최근 종합병원 승격 이후 전문 의료진의 수를 대폭 확충하고 진료과간 협진체계를 구축해 환자 맞춤형 진료를 하고 있다. 응급의료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긴급 상황에서 신속·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력과 장비도 보강했다. 이번 사태 여파로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등 일부 분야에 업무가 가중되고 있지만 의료진과 직원 모두 적극적으로 일하고 있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공의 사태 돌파구는 없나.

▶우리나라 의료계가 직면하고 있는 의료 사태는 미래가 보이지 않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응급의료 문제는 기존 의료체계에서도 계속됐던 문제다. 우리나라 의사들의 노동량은 세계 1등 수준이다. 외국의 의사에 비해 우리나라 의사 급여는 6분의 1 수준인데 일의 양은 4배가 넘는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를 들여다보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병원 개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와 의료계 전반이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syw534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