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1분 전쟁'…유튜브에 밀리는 네카오
'숏츠' 앞세운 유튜브 앱 사용시간 1000억분 돌파
카카오 '3배', 네이버 '5배'…"판 뒤집을 특화 서비스 필요"
- 조재현 기자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이른바 '숏폼'(짧은 동영상)이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핵심 콘텐츠로 부상하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흥미 위주의 짧은 볼거리로 1020세대가 크게 열광하고 있다.
숏폼 전쟁을 이끄는 것은 구글(유튜브), 메타(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빅테크다. 유튜브는 '숏츠', 인스타그램은 '릴스'로, 숏폼 원조 격인 '틱톡'(중국 바이트댄스)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돋보이는 것은 유튜브다. 한국인의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시간은 최근 3년간 56% 증가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가 유튜브 앱의 사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 2020년 10월 671억분이던 유튜브 앱 사용 시간은 올해 10월 1044억분으로 증가했다.
10월 기준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319억분)과 비교하면 약 3배, '국내 1위 포털' 네이버 앱(222억분)보다는 약 5배 많았다. 숏폼 경쟁자인 인스타그램(172억분), 틱톡(79억분)과 비교해 봐도 압도적 수치다.
같은 기간 네이버와 카카오의 사용 시간이 각각 13%, 7%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유튜브의 성장세가 얼마나 가파른지 알 수 있다.
와이즈앱은 숏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틱톡의 지난 3년간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숏폼 선호 경향은 나이가 어릴수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CJ ENM의 디지털 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에 따르면 10대의 일평균 숏폼 채널 이용 시간은 '63분'이었다. 전 연령대를 포함한 평균 이용 시간(35분)의 두 배였다.
응답자들이 숏폼을 보는 가장 큰 이유로 '재미있는 콘텐츠가 많다'를 꼽았다는 점에서 숏폼 이용 시간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본다.
네이버와 카카오도 뒤늦게 숏폼 서비스를 도입하며 추격에 나선 상태다.
네이버는 최근 네이버앱을 개편하면서 숏폼 서비스 '클립'을 첫 화면에 넣었다. 네이버는 블로그 운영자, 인플루언서 등의 참여 확대를 위한 창작자 보상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카카오톡은 프로필에 짧은 콘텐츠를 공유하고 24시간 후 사라지도록 하는 '펑' 기능을 추가했다. 인스타그램 '스토리'와 유사한 기능이다.
후발주자인 만큼 콘텐츠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는 영상으론 붙들기(락인)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며 "네이버, 카카오의 장점을 살린 연계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