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의사 연봉 최고 7억 vs 소아과 1억…이러니 필수의료 누가 하나
진료과별 의사 연봉 편차 커…필수의료 상대적으로 저연봉
전공의 7000만원 안팎…울산 의사 연봉 최고, 서울 최저
- 이훈철 기자, 천선휴 기자, 김규빈 기자
(서울=뉴스1) 이훈철 천선휴 김규빈 기자 = 국내 의사의 평균 임금이 진료과에 따라 많게는 3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 등 소위 돈을 잘 버는 인기과는 평균 연봉이 4억 원대에 달했으며 필수 의료 분야인 소아청소년과는 1억 원대로 연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의료인력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안과 전문의의 연평균 임금은 3억8900만 원이다. 28개 진료과 가운데 가장 높은 액수다.
이어 △정형외과 3억7600만 원 △신경외과 3억2600만 원 △피부과 2억8500만 원 △재활의학과 2억80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안과와 정형외과, 피부과 등은 비필수 의료 분야로 매년 레지던트 선발에서 지원자가 몰리는 인기과다.
반면 필수 의료 분야의 전문의 연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폐과 선언' 논란까지 불거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평균 임금은 1억3500만 원으로 28개 진료과 가운데 최저를 기록했다. 이밖에 △산부인과 2억3700만 원 △응급의학과 2억3400만 원 △흉부외과 2억2600만 원 △외과 2억2400만 원 등 필수 의료 분야 대부분이 전체 평균인 2억3700만 원을 밑돌았다.
의료기관마다 진료과에 따라 의사의 임금 편차도 컸다.
100병상 이하 병원급에 근무하는 전문의의 평균 임금은 3억3100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의원급 2억6900만 원 △종합병원 2억1200만 원 △요양병원 2억600만 원 △상급종합병원 1억5800만 원 △보건소 및 보건기관 1억700만 원 순을 나타냈다.
상급종합병원은 흉부외과 전문의 임금이 2억2200만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종합병원은 정형외과 의사 연봉이 2억9000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병원급은 신경외과 4억8000만 원 △요양병원은 방사선종양학과 4억5900만 원 △의원급은 안과 4억6100만 원 △보건소 및 보건기관은 응급의학과 2억900만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3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안과 전문의의 연평균 임금은 7억6800만 원에 달했다. 반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100병상 이상 병원급에 근무하는 경우 1억9200만 원으로 가장 높았을 뿐 어떤 의료기관에서도 연평균 임금이 2억 원을 넘지 못했다.
직역별로는 전문의의 평균 임금이 2억3700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의는 1억420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레지던트와 인턴 등 전공의의 연봉은 7000만 원 안팎을 기록했다.
개원의와 봉직의(페이닥터)의 평균 연봉도 크게 차이가 났다. 개원의의 연평균 임금은 2억9400만 원이지만 봉직의는 연평균 1억8500만 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울산지역 의사의 평균 연봉이 2억6500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세종 2억6300만 원 △경북 2억6000만 원 △전남 2억5900만 원 △충북 2억5700만 원 △경남 2억5600만 원 순을 나타냈다. 서울은 평균 연봉이 2억1000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의사 숫자가 많은 서울의 의사 연봉이 낮고 의사 부족 문제가 불거진 지방 의사의 연봉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기준 서울지역 의사 수는 2만913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반면 세종은 의사 숫자가 286명에 불과했다. 울산도 1687명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의사 숫자가 적었다.
서울의 대학 병원에 근무하는 한 전임의는 "우리처럼 대학병원에 들어가면 실제로 세금 제외하고 나면 300만 원가량 받는다"며 "전공의 마치고 군대 다녀오고 전문의가 되면 대부분 40대 되는 사람들이 대학병원에 남아 필수의료를 하며 소송과 싸우고 박봉에 시달리느니 이참에 필수의료 안 하고 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boazho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