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치료제 개발되나…최고 수율 도파민 세포 생산 성공

대규모 비임상 동물시험서 안전성·유효성 확보

임상용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임상 등급의 중뇌 특이적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생산(분화)하는 연구 과정. (세브란스병원 제공)

(서울=뉴스1) 천선휴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파키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한 발 다가섰다. 지금까지 파킨슨병은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이 전부였다.

12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김동욱 교수(연구 책임자)팀의 박상현 박사, 박찬욱 대학원생과 ㈜에스바이오메딕스의 조명수 연구소장, 엄장현 수석 연구원, 고려대 김대성 교수 공동 연구팀은 임상용 배아줄기세포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수율 도파민 신경전구세포 대량 생산법을 개발하고 대규모 비임상 동물 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증명했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신경질환으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중뇌의 신경세포가 소실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현재까지는 약물이나 수술로 부족한 도파민을 대체해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이 전부다. 이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지속적으로 사멸하는 것은 막을 수 없어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없다.

이에 전 세계 연구팀들은 파킨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배아줄기세포나 역분화줄기세포(iPSC)로부터 중뇌 특이적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만들어 뇌 속에 넣고 죽은 도파민 세포를 대체해주는 세포대체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임상용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는 특히 경쟁이 치열하다.

김동욱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팀들은 도파민 세포를 제조하는 과정의 분화 신호를 조절하는 데에 저분자 물질과 재조합 단백질을 섞어 사용한다.

그러나 김동욱 교수 연구팀은 세포 투과가 용이한 저분자 물질만을 사용해 정밀한 분화 신호 조절에 성공해 미국, 유럽 연구에 비해 높은 수율의 도파민 전구세포를 제조했다.

또 연구팀은 다른 팀들의 2차원 분화법과 다르게 3차원으로 도파민 세포를 분화시켜 대량 생산하는 방법도 개발했다.

1회 분화로 파킨슨 환자 약 25만명 정도 치료 가능한 양인 도파민 신경전구세포 약 3.18조개를 생산해냈다.

연구팀은 또 파킨슨병 동물 모델 쥐(rat)를 통해 대규모 유효성 시험을 수행했다.

이식한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는 성공적으로 도파민 신경세포(TH-양성세포)로 성숙했으며 암페타민(amphetamine)을 이용한 회전 시험에서 16주 후 회전 행동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이는 도파민 세포 이식을 통한 기능 회복을 나타내는 중요한 징후다.

또한 PET-CT를 이용해 이식 후 도파민 세포의 기능을 분석했을 때 이식한 세포가 장기적으로 뇌에 생착해 도파민을 생성했다.

또 파킨슨병 동물 모델 쥐에서 이식세포 수(5000개, 1만개, 2만5000개, 10만개)에 따른 행동평가를 수행한 결과, 1만개를 이식한 그룹부터 유효성이 나타났다. 이는 임상 시 사람에게 이식할 저용량 세포수인 315만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안전성 시험은 독성, 체내 분포 및 종양생성 여부 등으로 나눠 대규모로 면역 부전 쥐에서 수행됐다. 약 1년까지 장기간 수행된 종양원성시험에서 순수 도파민 세포로만 이뤄진 그룹에서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다.

체내 분포시험에서도 이식 뇌 부위에만 세포가 존재했고 독성시험에서도 특이한 독성이 보이지 않았다.

김동욱 교수는 "이러한 비임상 시험 결과를 토대로 식약처에서 파킨슨병 환자 대상 1/2a 임상 승인을 받았으며 순조롭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며 "안전하고 효능이 뛰어난 혁신적이고 근본적인 치료제를 개발해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셀(Cell)에서 발행하는 줄기세포 최고 권위 저널 셀 스템 셀(Cell Stem Cell, IF 23.9)에 게재됐다.

sssunhu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