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철강 '트라우마' 재발 우려…건설기계, 전후 복구 기대감↑[트럼프 당선]
고율 관세 가능성 높아져…철강 "수출환경 더 어려워질라"
우크라 조기종전 기대감…건설기계 "복구 사업 상당 부분 캡처"
- 박종홍 기자,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최동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이 확실시되면서 국내 철강 업계는 대미 수출 물량이 제한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면 건설기계 업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에 따른 재건 사업 참여 시기를 저울질하는 모양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 업체들은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탄소중립 규제 강화로 인한 비용 상승을, 공화당의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길 경우 관세 등 무역 장벽 강화를 우려해 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기를 잡은 이후엔 무역 장벽에 대한 우려가 깊어진 모양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기 집권 당시인 2018년에도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사문화 상태였던 무역확장법 232조를 꺼내 들어 수입 철강재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현재 한국은 관세 대신 쿼터 부과 대상국으로 지정돼 2015~2017년 연 평균 수출량의 70%에 해당하는 268만 톤의 철강만 수출이 가능하다.
중국의 수출물량에 대한 제재가 강화돼도 쿼터로 수출 물량이 고정된 상황인 만큼 국내 철강 업계가 반사이익을 얻기도 어려운 구조다.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수출 쿼터가 줄어들 가능성이나 관세가 재차 부과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평균 3%대인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20%로 높인다는 내용의 '보편적 관세'를 공약한 바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편적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한국의 연간 총 수출액 중 448억 달러가 증발할 것이란 전망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 1기에서 시행했던 무역확장법이 아직 시행 중인데 더 강화되지 않을지 걱정된다"며 "지금 정해져 있는 수출 물량 쿼터가 더 줄어들 가능성이나 수출 환경이 더 어려워질지 주시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별시장상황(PMS)'으로 반덤핑 관세가 높아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특별시장상황이란 '특정 국가 시장 상황이 비정상적이라 기업이 제출하는 제조원가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조사 당국이 재량으로 가격을 산정해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다.
미국 정부가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자의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미국 상무부는 2016년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한 1차 예비판정에서 넥스틸 8.04%, 세아제강 3.80%, 기타 5.9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으나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인 2017년 4월 최종 판정에선 '특별시장상황'을 적용해 각각 24.92%, 2.76%, 13.84% 등으로 대부분 업체의 관세율을 높였다.
미국 법원이 제동을 걸면서 PMS를 통한 관세 적용을 철회하기도 했지만 관련 법제를 재정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가 PMS 규정을 명확히 해 반덤핑 고율 관세 부과에 나설 수 있다"며 "초국경 보조금에 대한 조사 증가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저조한 실적으로 위기에 직면한 건설기계 업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에 따른 수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원조에 회의적 시선을 보내온 트럼프 전 대통령의 기조에 따라 '조기 종전'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HD현대건설기계는 과거 2분기 콘퍼런스콜 당시 "(전후) 복구 수요는 통상 (기존 수요의) 3배를 보는 뷰(전망)가 가장 많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 수요를 상당히 캡처(capture)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1096pag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