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 아웃 우려' 조선업계…친환경서 답 찾는다[줌인 중후장대③-끝]
올해 선박 발주 25% 감소 전망…신조선가는 상승 예상
3년치 일감 확보한 K조선, 수익성 위주 '선별 수주' 전망
- 배지윤 기자
(서울=뉴스1) 배지윤 기자 = '조선 빅3'(HD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한화오션)의 올해 수주 실적이 지난해보다 비교적 둔화될 전망이다. 지난 2년 동안 글로벌 선박 발주가 이어졌던 기저효과에다, 조선사로서도 충분한 일감을 확보한 만큼 '선별 수주'로 수익성을 챙기겠다는 전략이다. 조선업계는 고부가·친환경 선박 위주로 일감을 확보할 계획이다.
◇올해 수주 전망 '글쎄'
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조선업계에 '피크아웃'(최고점을 지나 하락하는 추세)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2년 동안 선주사들의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로 인해 선박 발주가 많았던 데 따라 자연스럽게 발주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신조선 시장의 발주량은 지난해 대비 25% 감소한 290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예상된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도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올해와 유사한 수준에서 머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선종별로는 LNG(액화천연가스)선과 컨테이너선 발주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럼에도 희망적인 부분은 신규 수주 감소가 예상됨에도 높은 신조선가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신조선가는 지난 10년 중 정점을 찍고 있다. 신조선가는 지난해 5월 170.11로 올라선 뒤 계속해서 170대를 유지하고 있다. 신조선가가 17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09년 1월(171.96) 이후 14년여만이다. 클락슨리서치가 최근(지난해 11월) 발표한 신조선가지수는 176.61포인트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수주를 많이 하는 것이 아닌 고가의 선박을 선별 수주하는 것이 수익성 확보의 핵심"이라며 "3년치 일감을 쌓아둔 조선업계는 고가 선박 수주가 유리하다"고 말했다.
◇K조선 수주 키워드는 '친환경'
확보한 3년치 일감으로 수주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에 있는 조선업계는 올해도 친환경 선박 중심의 수주 전략으로 장기간 수익성을 제고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 규제에 따라 향후 수년간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가 일어날 전망이다. 오는 2026년 전 세계 선박 중 탱커 37%, 벌크선 50%, 컨테이너선 40%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선박탄소집약도지수(CII) 규제에 따라 'D' 또는 'E' 등급을 부여받을 전망이다.
이들 선박 운항이 제한되면 교체 발주가 이뤄질 전망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IMO 규제에 따라 국내 조선사들이 접근 가능한 세계 선박 교체시장 규모만 지난해 2700억달러에서 2026년 3900억달러로 예상된다.
일찌감치 수주량이 건조량을 역전한 국내 조선업계 친환경 선박의 추가 선가 상승도 예상된다. 조선업계가 필요 이상의 수주 잔고를 이미 확보해둔 만큼 선주사와의 가격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어서다.
이 밖에 국내 조선업계의 차세대 친환경 선박 기술력도 주목할 만한다. 이들 기업들은 최근 메탄올·암모니아 추진선 연구개발(R&D)은 물론 수주 성적을 올리며 친환경 선박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양형모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 주요 조선소의 슬롯은 제한적"이라며 "본격적으로 교체발주가 시작되면 선가는 추가로 상승하고 조선소 캐파(생산능력) 부족으로 집중 발주가 이뤄질 전망이다. 국내 조선소는 최대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조선 올해도 인력 확보가 관건
조선업계가 수주 풍년 속 '조선 명가' 이름값을 이어가려면 인력난은 반드시 해결해야할 숙제로 꼽힌다. 2014년 조선업계 호황기에 종사자 수가 정점을 찍은 뒤 급감하며 고질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조선·현대삼호중공업·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5개사 인력 추이를 보면 조선업계 초호황기 2014년 5만9514명에서 지난해 3분기 3만8403명으로 급감했다. 조선업계는 지난해 1만4000여명이 넘는 생산 인력을 투입했지만 여전히 일손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가 지난해 숙련기능인력(E-7)과 비전문인력(E-9) 등으로 외국인 근로자 비자 제도도 손봤지만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에 역부족이다.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비숙련공 비중이 높아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조선업계는 인력 채용을 늘리는 동시에 처우 개선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또 선박 건조 공정 자동화를 확대함으로써 부족한 인력을 대체한다는 목표로 '스마트 조선소' 관련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사와 선주사와의 신뢰 구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연 없이 선박을 인도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K-조선 이름값을 지키려면 제때 선박을 인도하기 위한 지속적인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jiyounba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