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아마존·유럽도 '알테쉬 침공'에 비명…한국 점령 시간문제
[알리·테무發 경제전쟁]⑥ 5000억 달러 자본 공습에 직격탄
초저가·무규제 공습에 무방비…"플랫폼 생태계 저해 우려"
- 김명신 기자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몸값만 5000억 달러 공습이다. 알리익스프레스(알리바바그룹 1867억 달러), 테무(핀둬둬홀딩스 1754억 달러)의 현재 시가 총액이다.
11월 미국 뉴욕증시 상장에 도전하는 쉬인(Shein)은 기업 가치 900억 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전 세계 e커머스 시장은 6조 3000억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거대 자본력 앞세워 글로벌 시장 무차별 공략
거대 자본력과 수천 개의 중국 현지 공급망을 확보한 C커머스(China Commerce)의 무차별 초저가 공습에 전 세계 e커머스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 내수 시장 둔화를 틈타 2015년 쉬인을 시작으로 2022년 테무와 2023년 알리가 유럽과 러시아, 브라질, 미국, 일본, 한국 등 공격적으로 진출하며 위협적인 존재로 급부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쉬인은 150개국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테무는 40개국을 넘어서고 있다. C커머스의 특징은 규모와 자본으로 시장장악력을 높이는 전략으로, '원스톱 생태계 구축'이 목표다.
e커머스 특성상 고객 빅데이터와 점유율이 경쟁력이 되는 만큼 '가격 유인 정책'으로 이용자와 판매자를 확보한 다음 현지 물류시스템을 구축해 금융부터 배송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계열사를 투입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플랫폼 생태계 교란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공장 폐쇄·패션몰·저가숍 줄폐업…아마존·이베이는 구조조정
세계 최대 e커머스 대기업 아마존도 흔들리고 있다. WSJ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올해 구조조정에 나선 기업 중 아마존을 꼽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수백 명이 해고될 것으로 예상했다.
아마존뿐만 아니다. 이베이도 정규직 약 9%를 감원할 예정이며 메이시스(Macy’s)와 웨이페어(Wayfair) 등도 2000명 이상 인력 감축에 나섰다.
WSJ,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구조조정 배경으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의 치열한 경쟁"이라면서 "중국 e커머스의 압박을 받아왔다"고 전했다.
현지 언론들은 C커머스의 등장 이후 도매업체의 잇단 폐쇄와 아마존, 이베이, 월마트 등 주요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의 경쟁력 하락, 미국 최대 백화점까지 구조조정에 나선 것에 주목하고 있다.
WSJ는 엣시(Etsy)와 웨이페어(Wayfair)가 매출 하락으로 전체 인력의 11% 감원 등 대규모 정리해고를 단행한다며 "엣시와 웨이페어의 투자자들에게 중국 e커머스는 우려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저가 상품 판매업체부터 백화점까지 직격탄을 맞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할인점 시장에서 C커머스와의 경쟁으로 달러제너럴(Dollar General)의 순이익은 39% 감소했으며 달러트리는 올해 1000개(12%)의 매장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는 3년간 150개 점포를 폐쇄한다고 밝힌 가운데 CNN은 "백화점 업계가 최근 몇 년간 e커머스의 시장 부상으로 압박을 받아왔다"고 전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로이터에 따르면 CCE(Cross-Border Commerce Europe) 연간 순위에서 유럽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은 중국의 알리, 미국의 엣시, 아마존이 점유율을 장악하고 있다.
러시아나 남미에서도 위협적이다. 로이터 등에 따르면 알리는 러시아에서 점유율 20%에 육박하고 월간 사용자만 3500만 명이 넘는다. 브라질에서도 메르카도리브레(Mercado Livre), 아마존에 이어 3위(약 20%)에 올라와 있다.
◇ 현지 기업들 반발·판매자 수수료 논란…글로벌 Agenda 된 C커머스
업계는 C커머스가 주요 국가 e커머스 시장을 장악하는 데 불과 2~3년밖에 되지 않은 점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포브스(Fobes),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은 C커머스가 생산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제조업체를 통한 초저가와 막대한 광고비 지출, 보조금 정책 등으로 이용자를 불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지 업계의 반발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저렴한 노동력과 무관세 등으로 인한 현지 기업들과의 가격 불공정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소비자나 판매자 피해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법망을 피해 유해한 상품을 판매한 사례가 이어지면서 EU(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불법 상품 및 콘텐츠의 온라인 배포와 관련해 C커머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무엇보다 막대한 마케팅비 집행과 초저가 전략으로 판매자에게 수수료나 재고 등의 비용을 압박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WSJ는 일부 판매자와의 인터뷰를 전하면서 "이들은 매우 낮은 이윤과 가격 인하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재고와 반품 비용까지 떠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C커머스 공습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하자 미국에서는 중국과 관계가 있는 기업들의 노동 관행, 미국 고객 데이터 사용 및 제품을 미국으로 수입하는 방식에 대한 조사와 무관세 기준을 변경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EU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 위한 '디지털서비스법'(DSA) 적용에 나서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lil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
편집자주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e커머스가 주도하는 '차이나 덤핑'이 한국 경제를 흔들고 있다.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 염가 공세에 소비자는 무방비로 노출됐고 소상공인은 생존 위협에 처했다. 산업 전반에 걸쳐 '경제 전쟁'으로 번질 것이란 위기의 목소리도 나온다. 국가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신속하고 엄중한 대응은 물론 개인의 인식 변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C커머스의 실태와 문제점, 대응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