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밸류업 지수, '정량적 지표'로 구성하는 데 주력" [일문일답]

"지수 투명성 차원서 주관적 판단 최소화…연말 리밸런싱 예정"

이부연 한국거래소 경영지원본부장부(상무)가 2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밸류업지수 발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News1 문혜원 기자

(서울=뉴스1) 강수련 박승희 문혜원 기자 =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밸류업 지수'의 구성종목 적절성 논란이 이는 가운데 거래소가 "가급적 정량 지표를 중심으로 지수를 구성하는 데 주력했다"고 26일 해명했다.

이부연 한국거래소 경영지원본부장보(상무)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긴급브리핑을 열고 "사후적으로 봤을 때 일부 기업들에 대해서 부적절한 평가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주주환원 비율이 낮은 엔씨소프트와 DB하이텍 등의 편입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기업의 개별적인 내용들에 대해서 주관적인 판단은 가급적이면 최소화하는 게 지수의 투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겠다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구성 종목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만큼 이번 올해 중으로 공시 기업들을 중심으로 공통 종목을 변경할 수 있다고 했다.

"연내 공시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내용을 검토해 리밸런싱 기준을 만들어 적용하겠다"며 "연말에 특별 리밸런싱을 한 번 더 하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했다.

다음은 이 상무와의 일문일답.

-고PBR(주가순자산비율)과 고ROE(자기자본이익률) 기업들이 많이 포함됐다. 고배당주, 저PBR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도 왜 대표지수로 내놓았나

▶투자자들의 투자 수익을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둔 종목으로 구성된 테마성 지수보다는 밸류업 정책에 가장 부합하고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가 나오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또 밸류업 지수를 통해서 기업들의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도 촉진한다는 정책적 목적까지도 같이 달성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주주 환원이 인색한 엔씨소프트나 물적 분할이나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이었던 DB하이텍 등 종목은 제외할 수 없었나

▶사후적으로 일부 기업들에 대한 부적절한 평가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기업의 개별적인 내용들에 대해서 주관적인 판단은 가급적 최소화하는 게 지수의 투명서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겠다는 판단을 했다.

-구성종목 100종목 중 5단계 스크리닝을 통과하지 못한 기업은 SK하이닉스가 유일한가

▶한 종목이다. 기존 지수 구성 종목의 지수 편입 비중이 10%를 초과하는 경우로서 시장 및 산업 대표성, 향후의 실적 전망치, 지수 이용자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잔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지수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잔류가 가능하도록 했다. 그 부분이 SK하이닉스의 특례 편입 기준이다.

-금융업종 안에 특례 편입 종목이 많은데 KB금융이 왜 빠졌나

▶KB금융은 ROE 수치가 8.26%로 산업군 내 상위 50%에 들지 못해 마지막 단계에서 빠졌다. 전체 100개의 풀을 완성한 뒤 97~100위 4개 종목이 빠졌기 때문에 신한금융이나 우리금융지주가 들어가서 KB금융이편입되지 않은 상황은 아니다.

-리밸런싱은 추가 공시 기업을 대상으로 하나

▶올해 연말까지 공시 기업을 중심으로 편입 여부를 보겠다는 것이다.

-이미 종목을 선정한 기준을 깨트리는 것이 아닌가

▶현재 지수 구성 컨셉도 이미 밸류업 공시한 기업은 특례 편입했고, 예고공시 기업도 특례편입을 적용했다. 다만 내년도 정기 변경 시 공시한 기업에 대한 페이버를 주고 이번 구성종목에 편입됐지만 본 공시를 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추가로 심사 과정에서 보다 강화된 요건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듯이 그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이다.

-편입된 일부 종목은 수년간 배당금이 동결됐는데 추후 지수 산정 기준에서 주주 환원 요건이 바뀔 수 있나

▶배당 규모와 배당 성향은 감안하지 않았다. 지속적으로 배당을 하는지, 주주환원 관점에서 자사주 소각 등을 포함해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했다.

-밸류업 지수의 산업군별 비중이 변화할 수도 있나

▶산업군별로 쿼터를 정해놓지 않았다. 특정 업종에 쏠리지 않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이 되도록 선정 기준을 만들었다. 향후 리밸런싱 때는 산업군 분포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traini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