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57.6조원…부실우려는 2.4조원

금감원 "손실흡수능력 보유…금융시스템 영향 제한적"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지난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7조원으로, 이 중 2조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투자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감독원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7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 대비 1조2000억원 증가했다. 대체투자는 주식·채권 같은 전통적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투자 방식을 의미한다.

금융권별로 살펴보면 보험이 31조3000억원(54.4%)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8000억원(60.3%)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1조5000억원(20.0%), 아시아 4조2000억원(7.3%) 순이었다.

올해까지 돌아오는 만기 규모는 10조6000억원(18.3%)으로 집계됐다. 2030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투자금은 44조8000억원(78.0%)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가 단일 사업장(부동산)에 투자한 35조1000억원 중 2조4100억원(6.8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신용위험이 커져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금감원은 EOD 발생 규모가 지난해 6월 1조3300억원에서 지난해 9월 2조3100억원까지 급증했다면서도, 지난해 12월 2조4100억원으로 증가 폭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올해 미국, 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 하락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추가 가격 하락 위험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먼서도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는 한편 대체투자 프로세스를 점검해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ukge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