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순자산 2.4억…주식 '방긋' 집값 '울상'에 1.6% 상승(종합)

경제 성장보다 국부 증가세 더뎌…GDP 배율 9.7→9.6배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전민 손승환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이 1년 새 2.1% 늘면서 전년보다 증가세가 둔화했다. 가계 1인당 환산 수치로는 1.6% 늘었다. 글로벌 주가 상승에 금융자산이 뛰었지만, 집값 하락에 비금융자산이 타격을 받은 여파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1년 전 9.7배에서 9.6배로 소폭 하락했다. 한 해 경제 성장 속도보다 국민순자산 증가 속도가 느렸던 탓이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 규모는 2경 3039조 원으로 전년 대비 472조 원(2.1%) 증가했다.

국민순자산 증가율은 지난 2022년(3.1%) 대비 1%포인트(p) 둔화했다.

김민수 한은 국민B/S팀장은 "지난해 말 국민순자산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둔화했다"며 "주택 가격 하락에 따른 토지자산의 감소로 비금융자산이 낮은 증가세를 보였고 순금융자산의 증가세는 큰 폭으로 둔화된 영향"이라고 말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국민경제 전체와 개별 경제주체가 보유한 유무형 자산, 금융부채 등의 규모를 기록한 결과다. 국민순자산을 통해 한국 가계와 기업, 정부 등이 가진 국부(國富)의 규모를 알 수 있다.

지난해 국민순자산 중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순자산 대비 95.5%)은 2경 1995조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442조 원(2.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지자산의 감소세가 지속(2022년 -129조 원→작년 -38조 원)된 여파였다.

그나마 증가세가 양호했던 것은 부동산이 아닌 주식·펀드 등 금융자산이었다. 지난해 순금융자산은 전년 대비 30조 원(3.0%) 증가한 1045조 원을 기록했다.

순금융자산은 금융자산(2경 2899조 원)에서 금융부채(2경 1855조 원)를 뺀 값을 의미한다.

이에 2023년 명목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9.7배에서 9.6배로 하락했다. 지난해 국민순자산 증가율보다 명목 GDP 증가율(3.4%)이 더 높았기 때문이다.

(한은 제공)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규모는 1경 2632조 원으로 전년 감소세(-1.4%)에서 소폭 증가(1.7%)로 전환했다.

김 팀장은 "주택 자산이 감소했지만 주가 반등으로 지분증권, 투자 펀드 자산이 161조원 증가하는 등 금융자산의 평가 이익이 커진 영향"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가계는 주택자산이 147조 원(-2.3%) 줄면서 비금융자산이 감소(-38조 원, -0.4%)했다. 반면 금융자산은 233조 원(4.7%) 불었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의 순자산 구성을 보면 주택이 50.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서 부동산 25.2%, 현금 및 예금 19.1%, 보험 및 연금 11.5% 순이었다.

가계 보유 부동산의 순자산 대비 비중은 75.5%로 전년(77.1%)보다 낮아졌다.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 4427만 원으로 1년 전(2억 4039만 원)보다 1.6% 소폭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국제 비교를 위해 시장 환율로 환산한 우리나라 1인당 가계순자산은 지난해 기준 18만 7000달러로 일본(18.3만 달러)을 제외하고 주요국 대비 낮았다. 미국(46.5만 달러), 호주(39.3만 달러), 캐나다(28.2만 달러), 프랑스(23.0만 달러), 독일(22.4만 달러), 영국(21.3만 달러) 등은 모두 가계순자산이 20만 달러를 넘었다.

실질 구매력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933원)로 환산한 1인당 가계순자산은 26만 2000달러로 나타났다. 김 팀장은 "통상 선진국의 서비스 물가 수준이 높은 영향으로 구매력 평가 환율로 환산 땐 주요국과의 격차가 줄어든다"며 "일본(22.9만 달러), 영국(23.7만 달러)에 비해 우리나라가 소폭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은 제공)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부동산(토지+건물) 시가총액을 보면 전년 대비 207조 원(1.2%) 소폭 증가한 1경 6841조 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주택 시가총액은 6839조 원으로 1.7% 감소했다.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간 셈이다.

주택시가총액의 GDP 대비 배율은 3.0배에서 2.8배로 하락했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