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용갭 14분기째 위험 수준…역대 최장 기간 '경보음'

BIS 신용갭 작년 3분기 10.5%p…1972년 이후 줄곧 '위험' 단계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를 합친 규모가 14분기째 위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72년 관련 통계 작성 후 가장 긴 기간이다.

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신용 갭은 10.5%포인트(p)로 2020년 2분기 이후 10%p 웃돌았다. 부채 위험도를 나타내는 신용 갭은 가계·기업부채를 합한 민간부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이 장기추세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민간신용 비율이 과거 추세보다 빠르게 오를수록 신용 갭은 벌어지는데 BIS는 이 지표를 잠재적인 국가 신용위기를 가늠하는 데 활용한다. BIS는 신용 갭이 10%p를 초과하면 '경보', 2~10%p면 '주의', 2%p 미만이면 '보통' 단계로 분류한다.

한국의 신용 갭은 지난 2017년 4분기(-2.9%p)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2019년 2분기(3.0%p) '주의' 단계로 분류됐다. 이후 2020년 2분기 12.9%p까지 가파르게 치솟으며 10%p 초과 위험 수위인 '경보' 단계에 다다랐다. 그 뒤로도 가속 페달을 밟아 2021년 1분기(17.3%p)만 해도 세계 9위 수준이었으나 2021년 2분기(17.1%p) 5위로 오르더니 2021년 4분기(16.6%p) 3위에 올라섰다.

이후 신용갭 자체는 꾸준히 축소됐으나 다른 나라의 부채위험 지표가 완화된 것에 비해 속도가 매우 더딘 상황이다.

과거 신용 갭이 지금처럼 10%p 수준이었던 기간은 흔치 않았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4분기(13.2%p)~1998년 3분기(10.5%p),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4분기(10.7%p)~2009년 4분기(11.2%p)까지가 전부다.

한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을 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225.5%에 달했다. 2020년 1분기(200.0%) 이후 15분기 연속으로 200%를 웃돌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1.5%,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24.0%로 집계됐다.

가계·기업부채에 정부 부채까지 더한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3분기 5988조1910억 원으로 한 분기 새 29조8614억 원 늘었다.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4분기 지표가 발표되면 사상 처음 600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