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고령사회 대응 지표체계 고도화…기업 지표도 개발"

저출산위, 경제인문사회硏 등과 '고령사회 대응' 주제로 포럼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한경협 제공) 2024.11.25/뉴스1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11일 "고령사회 대응 지표체계를 지속해서 고도화하고, 지자체에서는 지역적 특수성을 살린 고령 친화적 지역사회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주 부위원장은 이날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와 '고령사회 대응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인구전략 공동포럼'을 열고 "기업들도 ESG 일환으로 고령 친화적 근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고령사회 대응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기업 및 지자체 단위 지표 체계도 개발해 제시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주 부위원장은 "이미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는 내년부터 1년에 약 1%포인트(p)씩 고령인구가 증가해 2045년에는 그 비중이 37.3%에 이르러, 세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이어 "급격한 고령화는 경제·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사회의 양극화와 격차를 심화시키고, 사회적 포용성을 약화할 우려가 있다"며 "우리 사회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초고령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복지·고용·의료·돌봄·주거·산업 등 다방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고령사회 대응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다양한 해법이 논의됐다.

석재은 한림대학교 교수는 '초고령사회와 한국의 지속 가능한 사회보장개혁'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아 "급격한 속도와 경제 저성장 단계에서의 고령화를 겪고 있는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해 복지 수요와 부담 역량의 합리적인 균형을 모색하고, 고비용·저효율의 복지시스템을 혁신하는 방향으로 사회보장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고령사회 대응 지표체계 개발과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시계열 및 국제 비교를 통해 현 고령사회 대응 준비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 모니터링을 위해 개발한 '고령사회 대응 지표체계'를 제시했다.

김정석 한국인구학회 회장은 '고령사회의 미래, 변화방향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고령화에 따른 파급효과 및 복합적 사회 변화를 분석하고,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신(新)노년세대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노년 담론에 상응하도록 정책 방향이 수립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