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절반, 가동률 떨어져…10곳 중 1곳 50% 이하로 뚝"

보건노조, 65곳 실태 조사…'24시간 운영' 94%
"증원 백지화는 사회 혼란…전공의 결단 촉구"

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구급대원이 구급차량을 정리하고 있다. 2024.9.9/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응급실 2개 중 1개는 의정갈등 이전보다 가동률이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10개 중 1개는 가동률이 50% 이하로 내려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4~9일 6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응급실 운영실태 조사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응답 의료기관은 국립대병원 7곳, 사립대병원 23곳, 지방의료원 14곳, 특수목적공공병원 10곳, 민간중소병원 7곳, 기타 4곳 등이다.

이달 현재 응급실(응급의료센터) 가동률이 지난 2월부터 진행된 의정갈등에 비해 떨어진 데는 총 33곳(50.7%)으로 조사됐다.

50% 이하로 떨어졌다는 응답이 10곳(15.3%), 51~80% 수준이 20곳(30.7%), 81% 이상 가동되는 데가 3곳(4.6%) 이었다.

큰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26곳(40%), 가동률이 더 높아졌다는 응답은 6곳(9.2%)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의료공백이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지를 묻자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이 총 42곳(64.6%)에 달했다.

이 중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은 18곳(27.7%), '약간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이 24곳(36.9%)으로 파악됐다.

또한 24곳(36.9%)은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 가운데 4곳(6.1%)이 '발생하지 않는 편', 19곳(29.2%)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응급실 비상진료체계가 어떻게 가동되는지 묻는 질문에는 36개(55.3%)가 '겨우겨우 버티고 있지만 불안하다'고 26개(40%)가 '원활하게 정상 가동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3곳(4.6%)은 '무너지기 직전이고 더 오래 버틸 수 없는 지경'이라고 응답했다.

일일 운영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매일 운영한다'가 61곳(93.8%), '매일 운영하지 못 한다'가 4곳(6.1%) 이었다.

운영 축소 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축소 운영하지 않고 24시간 운영한다'가 61곳(93.8%), '16시간 이상~24시간 미만 운영'과 '8시간 이상~16시간 미만 운영'이 각각 2곳(3%)으로 파악됐다.

이달 응급의학과 의사 수가 2월부터 촉발된 사태 전보다 가장 많이 감소한 데는 12명으로 의사 18명 중 6명만 남았다. 11명 줄어든 데가 2곳, 10명 줄어든 데가 3곳으로 집계됐다.

응급실 진료지원(PA) 간호사는 13명 늘어난 곳이 있었고, PA 간호사 외 진료지원 인력수도 48명 증원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조는 "응급실 가동률이 떨어지고 의료공백이 발생하지만 94%의 의료기관이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지 않고 매일 24시간 가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사 수는 줄었지만 전문의들과 PA 간호사·진료지원 인력이 공백을 메운다"며 "나머지 의료인력이 안간힘을 쓰며 진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전공의들은 조속히 현장으로 돌아오라"며 "의사단체의 증원 백지화 요구는 엄청난 사회적 혼란과 수험생 피해를 초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야의정 협의조차 거부하는 건 억지를 부려서라도 무조건 이기겠다는 정치논리"라며 "환자와 국민의 편에 설 것을 촉구한다. 전공의들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