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다자협력 시대 '활짝'…"하나만 잘해도 뜬다"

ADC 링커·페이로드·항체 등 기술 보유 업체 간 협력 강화
지놈앤컴퍼니, 리가켐, 앱클론 등 회사별 기술수출 협력↑

ⓒ News1 DB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 신약 개발 플랫폼이 다변화하면서 제약 바이오 회사 간의 협력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차세대 항암 플랫폼 기술로 주목받는 항체-약물 접합체(ADC)는 항체와 링커, 페이로드(약물) 등 각 구성 요소별 장벽을 넘는 파트너십이 대세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거에는 항체 개발 기업은 항체만을, 저분자화합물 개발 기업은 저분자 화합물만을 개발해 직접 상업화 제품을 목표로 했지만, 최근에는 부품을 납품하는 것과 같은 개방형 협력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방형 협력 사례 태동의 중심은 플랫폼 기술이다. ADC와 같은 플랫폼 기술만 봐도 항체와 약물, 이들을 연결할 링커 기술을 각각 보유한 회사들이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ADC 구성의 3요소는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안티바디) △세포 독성 약물(페이로드) △항체와 세포 독성 약물의 연결고리(링커)이다. 항체의 치료 효과에 저분자 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더해져서 약효를 강화할 수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링커 기술을 가진 기술은 항체 기술을 해외에서 구입해 자체적으로 항체 생성과 후보 항체 선정을 진행했으나, 최근에는 항암 표적에 다가설 수 있는 최적의 항체를 가진 기업과 손을 잡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이유는 부분별 연구개발 수준이 심화하는 데다 비용과 연구개발 소요 시간 면에서 기술 도입과 같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항체 기업은 단일항체에서 이중, 삼중 항체까지 개발을 진행해 다중 표적이 가능하게 한다.

또 링커 연구개발 기업은 치료 암종에 따라 약물이 빠르거나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링커 연구에 집중할 수 있다. 이를 통하면 독성 부작용으로 사용이 어려웠던 항암 약물도 탑재할 수 있어 효능이 높은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특화 연구개발기업들이 자리를 잡아가는 모양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췄다. 이에 ADC 접합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이중항체를 개발해 4세대 ADC 시장에 진출한다.

장 내 미생물 균총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항암제를 개발하던 지놈앤컴퍼니 역시 최근 ADC 항체 분야 협력기업으로 새로 부상했다. 이 회사는 CD239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GENA111을스위스 디바이오팜에 공급한다.

여기에 동아에스티가 지난해 12월 인수한 앱티스는 링커 전문 연구개발 회사다. 이 회사는 단백질을 활용해 항체 쪽에 결합하는 링커를 보유하고 있다. 약물의 분출 시간에 따라 2가지 종류의 링커를 상용화해 제공한다.

업계 관계자는 "최종 상업화 제품을 만들기까지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모되기 때문에 재정적 기반이 부족한 바이오 스타트업은 파트너십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업화까지 가는 노하우를 습득해 경험을 쌓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시장조사기관 이벨류에이트에 따르면 세계 ADC 시장은 지난해 100억 달러(약 14조 원)를 기록했으며, 오는 2028년 280억 달러(약 39조 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cal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