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등지기 전 97% 신호 보내지만…10명 중 2명만 알아챘다

2015~2023년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분석 결과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천선휴 기자 = 자살사망자의 약 97%가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냈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약 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15~2023년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에 따르면 9년간 자살사망자 1099명과 유족 1262명으로부터 얻은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경우 96.6%가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 고인의 기록 등을 검토해 자살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살사망자가 사망 전 신호를 보낸 것과는 달리 가족, 지인 등 주변에서 이러한 신호를 인지한 경우는 23.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를 보낸 시기별로 나누어 보면 사망 한 달 이내에는 감정상태 변화(19.1%)와 주변 정리(14%) 신호를 보냈으며, 사망 1년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이었다.

또 1인 가구의 자살사망 특성을 살펴보면 청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43.8%로 다인 가구 청년기 비율(2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사망장소는 자택이 69%로 다인 가구(53.2%)보다 높았으며, 다인 가구가 가족(52.1%)에 의한 최초발견이 높았던 것과 달리 1인 가구는 가족(25.6%), 경찰 및 소방(25.1%), 지인(24.6%)에 의해 발견됐다.

또한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43.7%)은 다인 가구(29.7%)보다 높았으며, 지속적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15.3%)도 다인 가구(8.7%)보다 높았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경우 98.9%는 사별 후 심리·행동(97.6%), 대인관계(62.9%), 신체건강(56.5%), 가족관계(52.2%) 등의 변화를 경험했다.

또 심한 우울(20.0%), 임상적 불면증(33.1%), 복합비탄(37.8%), 자살사고(56.3%)와 같은 정신건강 관련 문제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는데, 이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며 "심리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2023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는 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에 게시되며,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자살예방센터)에 배포할 예정이다.

sssunhu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