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중소기업에 '스마트 서비스' 지원…"제조·서비스업 융합"

2020년 시범사업 플램폼 구축…100개 기업 대상
프로세스·물류·고객·자동화 분야

(서울=뉴스1) 진희정 기자 | 2019-07-02 07:00 송고 | 2019-07-02 08:21 최종수정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1. 섬유원단 영업사원 A씨는 회사에 챗봇이 도입된 이후 고객관리가 수월해졌다. 챗봇은 문자 또는 음성으로 대화하는 기능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인공 지능이다. 그동안 영업과 구매를 겸업해 전화를 받지 못할 때가 있었고, 표기 오류로 주문 실수도 종종 있었다. 하지만 이제 주문은 챗봇을 통해 자동으로 공장에 접수되고, 오롯이 영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 능률이 올랐다.

#2. 유기농 채소를 판매하는 B사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농장에서 출하될 때의 신선도를 배송지까지 유지할 수 있다. 발주처까지 식자재를 신경써서 보냈어도 냉동차의 상태를 알지 못해 불안했었지만 센서를 부착한 이후 모든 배송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오는 2020년 1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스마트 서비스'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향상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테면 원단 100개를 직접 주문하고 받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스마트 서비스)을 도입해 시간과 오류를 줄일 수 있다.

2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기부는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메인비즈협회)와 함께 '스마트 서비스' 사업 신설을 위한 컨설팅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업종이나 기업 맞춤형으로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즉 서비스 분야의 혁신을 원하는 중소기업이나 정보통신(IT) 솔루션을 지원하는 업체를 서로 매칭시켜 시너지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서비스 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부가가치 창출효과 크고 일자리 창출효과는 제조업의 두 배에 이른다. 그러나 국내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와 고용 비중은 주요 선진국보다 약 10~20%포인트(p) 낮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실제 정부 조사 결과 국내 서비스 산업 부가가치 비중은 지난해 59.1%에 그쳤지만 미국은 79.5%, 일본은 69.5%, 독일은 681%, 영국은 79.2%다. 

중기부 관계자는 "초기 단계지만 내년도 서비스 중소기업의 성장과 고부가화를 지원하고 제조 중소기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칭 스마트 서비스 사업을 만들고 있다"며 "스마트 팩토리와 함께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융합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스마트 서비스 지원 솔루션을 크게 △로봇자동화(RPA) △창고관리(WMS) △고객관리(CRM) △사물인터넷(IoT)으로 구분했다.

프로세스는 로봇자동화로 관리한다. 단순문서 작성이나 처리, 정보 등록 등 표준화된 단순 반복 업무는 챗봇이 대신하게 된다. 고객관리는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앱 등을 활용해 대기시간과 절차를 줄이고 고객 참여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메인비즈협회 관계자는 "2020년 100개 기업이 모일 수 있도록 업종별 협회가 일종의 플랫폼이 돼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발굴하고 풀을 구축하게 된다"며 "현재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기업에게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50%를 지원하는 만큼 스마트 서비스도 그 정도 수준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한편 중기부는 '스마트 서비스' 지원 중심의 지원규모와 대상, 주관기관, 절차를 포함한 세부사항을 오는 9월께 확정할 계획이다.


hj_ji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