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고공행진' P2P 연체율 7%…"법제화해 옥석 가려야"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2019-04-18 10:10 송고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P2P 업체들의 연체율이 평균 7%를 넘어 투자자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좋은펀드는 2개월째 연체율 100%를 기록해 정상적인 상환이 불가능한 상태다. 다만 업계에선 위기라고 보기는 힘들다며 오히려 부실한 P2P 업체에 대한 옥석을 가릴 때라고 말한다.

18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협회 회원사들의 평균 연체율은 7.07%로 나타났다. 2월 7.54%에 비해 0.47%p 줄었지만 지난해 3월 2.21%와 비교했을 때 3배를 넘은 높은 수준이다. 상환이 불가능한 상태인 더좋은펀드를 비롯해 애플펀딩(70.1%), 썬펀딩(69.0%), 소딧(65.8%) 등이 높은 연체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P2P 업계 부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P2P 업계 연체율은 0.4%에 불과한 은행과 4.3%인 저축은행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연체율이 지금 수준보다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며 "부동산 PF와 개인대출 항목을 분리해 항목마다 부실 여부를 더 자세히 공시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P2P금융협회 관계자는 "제도권 금융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며 "협회와 회원사가 3년 가까이 P2P 법제화를 위해 노력했는데 계속 미뤄지고 있어 어려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협회의 설명처럼 P2P 업계에선 'P2P 법제화' 법안이 하루빨리 국회를 통과하길 바라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이 P2P 업체들에 권고하는 투자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법적 요건이 없어 사실상 지키지 않아도 되는 행동 지침에 불과하다. P2P 업계에선 국회 법안소위원회에 계류된 'P2P법제화' 법안이 통과돼 △자본금 요건 △파산절연 △전문가 요건 등 업계 진입 장벽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하루 빨리 옥석을 가려 '부실 이미지'를 떨쳐내야 한다는 것이다.
P2P 업계 관계자는 "진입 장벽이 낮아 충분한 심사 인력이나 리스크 관리, 채권 관리 프로세스 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업체가 많다"며 "열심히 하는 업체들 입장에선 P2P 업계 전체가 위험한 시장으로 보이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서상훈 어니스트펀드 대표도 "P2P는 기본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곳이다보니 기본적으로 자본금을 갖춰야 어려워도 버틸 수 있는 힘이 있다"며 "불편하더라도 법제화를 통해 규제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체율 수준이 위험할 정도는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연체율 집계 방식이 제도권 금융사와 다르다는 것이다. P2P 연체율은 미상환된 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계산돼 상환된 대출 잔액이 많은 시기 직후엔 과대계상돼 보일 수 있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높은 연체율로 인해 P2P 업체들에 규제를 덮는 순간 오히려 혁신성과 유연성이 다 없어져 버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dyeop@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