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김조원 KAI 사장 "방산 경쟁력 강화, 광주형 일자리 롤모델 될 수 있어"

"고성군 날개공장 지원 등 협력 통해 경쟁력 강화해야"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 | 2019-01-17 14:45 송고 | 2019-01-17 14:49 최종수정
김조원 KAI 사장 © News1
김조원 KAI 사장 © News1

김조원 KAI 사장은 방위산업 발전을 위해 '광주형 일자리'와 같이 지자체 및 정부 협력을 통한 상생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KAI가 주력사업으로 추진했으나 해외 업체와 가격 경쟁력 등에 밀려 탈락한 미국 고등훈련기(APT) 사업과 필리핀 수리온 헬기 수출 사업 등을 교훈삼아 상생모델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조원 KAI 사장은 17일 서울 영등포구 공군회관에서 열린 '2019 KAI 신년 간담회'에서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은 초기에 정부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정부가 초기 인프라를 구축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한 예로 들며 "1970년대 정부에서는 자동차 산업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며 "이런 장치 산업은 정부에서 육성해야 하는데 특정업체가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경남 고성에 들어서기로 결정된 KAI 부품생산공장을 언급하며 "고성군에서 부지 및 인프라 구축을 제안했다"며 "이로써 KAI는 8~10%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여력으로 보잉이나 에어버스가 아닌 다른 업체에 수주, KAI 협력업체에 맡겨 생산하는 구조"라며 "이는 현재 얘기 나오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와 같은 모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김 사장은 "항공우주산업은 모든 기술이 총집합돼 있는 분야인데 진입장벽이 너무 높다"며 "일단 자유롭게 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게 하고 경쟁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KAI는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항공우주분야의 신규 협력업체 110개를 발굴해 현재 330여개의 협력업체를 두고 있다. 앞으로도 2030년까지 강소기업 1000여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상생모델의 필요성은 KAI가 지난해 주력사업으로 꼽았던 APT 사업, 필리핀 수리온 수출 사업 등의 실패와도 관련 있다. 두 사업의 경우, KAI는 가격 경쟁력에서 경쟁 업체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가성비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민간업체끼리의 경쟁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기술력을 높이는 구조가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KAI는 엔진을 비롯한 주요 소재를 미국 등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의 협상이 아닌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하고 가성비를 갖춘 제품을 공급하는 보잉 등 해외 유수 업체와 경쟁하기는 힘들다는 설명이다.

김 사장은 "항공우주산업 전체를 키우려면 정부 차원의 계획과 정책이 필요하다"며 "KAI는 지속적으로 정부에 촉구하고 조금씩이라고 나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award@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