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현대硏 "에너지 전환 성공 위해 분산형 전원 확대해야"

22일 '성공적 에너지 전환을 위한 과제' 보고서 발간
전력수급 불균형 해결, 송전손실 감축 가능해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2018-10-22 11:00 송고
경기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의 한 송전탑(자료사진) 2016.8.10/뉴스1 © News1 
경기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의 한 송전탑(자료사진) 2016.8.10/뉴스1 © News1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성공하려면 특정 지역에 집중돼 있는 발전원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2일 발간한 '성공적 에너지 전환을 위한 과제: 분산형 전원의 역할 제고가 필요하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전 세계적인 분산형 전원 확대 트렌드에 맞춰 한국도 보급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주요 선진국보다는 미흡한 실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은 △에너지원의 청정화 △발전원의 분산화 △송전망의 지능화를 포괄하고 있는 개념이다. 연구원은 "현재의 청정화와 지능화에 비해 분산화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라며 분산형 전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원은 분산형 전원 확대의 이점에 대해 먼저 '전력수급 불균형에 따른 지역갈등의 완화'를 들었다. 연구원에 따르면 전력 수요지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된 반면 공급지는 충청·호남·영남지역에 편중돼 있다. 17개 광역시도 중 전력 소비량이 가장 많은 경기도의 전략 자급률은 54%였으며 서울의 경우 2%에 불과했다.

연구원은 분산형 전원이 수요지 인근에 있기 때문에 송전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7년 기준 국내 전력손실은 1만8790GWh로 나타났으며 이 중 송·변전손실은 8353GWh로 추산된다. 한울 2호기 원자력 발전소의 연간 발전량인 7888GWh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연구원은 수요지 인근의 소규모 분산형 전원이 확대되면 송정에 따름 비용이 절감되고 사회적 편익이 증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 연구원은 분산형 전원이 주로 친환경 발전원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저감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원은 이런 분산형 전원 확대를 위해 정부가 나서 재생에너지 산업을 조성하고 집단에너지 산업 기반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민간에서도 전력 다소비 기업이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는 자가용 발전을 지속해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은 현재까지 지방에 대형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전력을 대량 생산해 원거리 송전하는 방식으로 전력 공급체계를 운영해왔다. 하지만 원거리 송전을 위한 고전압 대용량 송·변전 설비 구축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면서 분산형 전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potgus@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