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취준생, 가정주부보다 '불행'…고소득·화이트칼라 '행복'

통계개발원 통계플러스 가을호
"삶 만족도 높이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 형성 중요"

(세종=뉴스1) 이훈철 기자 | 2018-10-01 12:00 송고
© News1
© News1

취업준비생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육아·가사노동에 시달리는 가정주부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높고 전문·관리직에 종사하는 '화이트칼라' 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이 낮고 이혼한 경우 행복도가 떨어졌다.
통계청이 1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준비생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5.2점으로 육아·가사 6.1점보다 낮았다.

이번 결과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것으로, 행복수준을 △삶에 대한 만족도 △행복 △근심·걱정 △우울 △유데모니아 등 5개 항목으로 수치화한 것이다. 각 항목별 점수는 10점 만점이다.

취업준비생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를 통틀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취업준비생은 근심·걱정, 우울 측면에서 4.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해 낮은 행복수준을 보였다. 취업준비생은 삶에 대한 가치를 의미하는 유데모니아에서도 5.4점의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경제활동을 한 사람 중 전문·관리직과 사무직 종사는 각각 6.3점으로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비경제활동인구에서는 학생·진학준비가 6.3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소득도 행복의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5.49점으로 소득 500만원 이상 가구(6.42점)보다 0.93점 낮았다.

반대로 근심·걱정, 우울면에서는 소득 100만원 미만인 경우 4.23점으로 500만원 이상보다 0.75점 높게 나타나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30대가 6.17점으로 삶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나이가 들수록 행복도가 떨어져 60대의 경우 5.9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근심우울 등 부정적 정서는 40대가 3.71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혼한 경우 삶의 만족도가 가장 떨어졌다. 반대로 부정적 정서에서는 이혼이 4.4점으로 가장 높았다.

또 대졸이 고졸보다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망이 있는 경우(6.19점)가 없는 것(5.68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농어촌의 삶이 도시보다 행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적으로 보면 경제활동을 하고 사회관계망이 있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반대인 경우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문·관리직, 사무직 종사자 중 사회관계망이 있고 대졸 이상인 경우 6.46점의 가장 높은 삶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 반면, 쉬었음 및 취업준비이고 사회관계망이 없는 집단은 4.71점으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통계개발원 관계자는 "가구소득은 여전히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긴 하나 사회적 관계망 또한 행복수준에 중요한 변수"라며 "우리 사회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측면과 아울러 사회적 관계망과 같은 사회의 질적인 수준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boazhoon@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