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국내 연구진,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 밝혀냈다

식물이 발달과 노화과정서 만든 리그닌의 울타리 역할 때문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2018-05-04 00:00 송고
꽃잎이 떨어지는 탈리현상에 관한 세포 수준에서의 메커니즘© News1
꽃잎이 떨어지는 탈리현상에 관한 세포 수준에서의 메커니즘© News1

국내 연구진이 식물의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를 밝혀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이유리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이 DGIST 곽준명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식물이 발달과 노화 과정 중 리그닌(Lignin)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꽃잎이나 나뭇잎이 떨어져야 할 정확한 위치에 잎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은 식물의 탈리(낙엽, 낙과, 그리고 꽃잎이나 씨앗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식물 기관이 식물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가 일어나는 경계에서 이웃하는 두 세포(식물에서 떨어져 나가는 이탈세포, 꽃잎이 떨어지고 식물 본체에 남는 잔존세포) 중 이탈세포에서만 리그닌이 형성돼 꽃잎을 식물의 본체로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떨어지게 하는 울타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리그닌은 이웃하는 세포 사이를 분리시키는 세포벽 분해효소가 꽃잎이 탈리되는 경계선 위치에만 밀집되게 하고, 주변 세포들로 퍼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리그닌이 육각형의 벌집구조를 형성해 기능을 발휘하는데 최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리그닌의 울타리 역할 덕분에 식물은 탈리가 일어나야 할 정확한 위치에서 잎을 분리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꽃잎이 떨어진 단면에 큐티클 막이 형성되면서 외부 세균의 침입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해 생존력을 높인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리그닌의 역할과 탈리 메커니즘을 응용해 탈리 현상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화합물을 찾는 후속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탈리 현상을 조절하면 낙과로 잃어버리는 식량 작물의 손실을 줄이거나 잎의 탈리를 조절해 수확량을 늘리는 등 식량 생산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곽준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리그닌이 이탈세포에서 형성돼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조직을 정확히 이탈시켜 식물의 생존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탈리 경계의 두 이웃세포의 협업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작물의 꽃과 종자, 과일이 떨어지는 것을 조절해 수확량을 늘리면 식량 생산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셀(Cell)’ 온라인 판에 4일 0시(한국시간) 게재됐다.


memory44444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