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2020년 '차세대 전자여권'…색감 풍부하고 전통유물 가득"

[인터뷰] 차세대 여권디자인 총괄하는 김수정 교수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2018-05-02 16:52 송고 | 2018-05-03 11:35 최종수정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전자여권 겉면 예시 사진.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을 수정보완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제공 문화체육관광부)© News1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전자여권 겉면 예시 사진.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을 수정보완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제공 문화체육관광부)© News1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은 기존 전자여권보다 색감이나 이미지가 풍부합니다. 특히, 우리 전통문화에 대해 다양한 볼거리를 배경에 많이 넣을 예정입니다. 기존 공모안의 골격을 이어가면서 세부적으로 수정보완해 오는 8월에 최종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는 김수정 서울대 미대 교수는 2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전자여권의 위·변조를 막기 위한 보안요소의 적용과 생산시설의 조건을 고려해 디자인 개발 단계부터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자여권이 새로운 디자인과 보안요소를 적용해 '차세대 전자여권'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에서 '차세대 전자여권 도입 계획'과 연계해 여권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한다고 밝혔다.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은 기존에 개발한 디자인을 수정·보완한다. 김 교수는 2007년 각계의 추천을 받은 디자이너 10명이 참여한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에서 안상수 디자이너와 함께 최우수작을 공동수상했다. 차세대 전자여권은 당시 김 교수의 공모안을 바탕으로 한다.

김 교수는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안을 완성하고 조폐공사로 생산이 넘어가는 원고를 마무리하는 과정을 총괄한다"며 "디자인 작업을 지난 3월부터 시작해 오는 8월까지 마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은 10년 전의 공모작과 기본 골격이 같다"며 "큰 틀을 가져오지만 전통문양 선정, 보안요소 적용, 생산시설의 조건 등을 고려해 공모안을 세부적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차세대 전자여권에 들어갈 전통 유물을 선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권에 들어갈 전통 유물을 5월까지 확정하려 한다"며 "유물 선정이 국민 정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자문을 거치고 있다"고도 말했다.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기존 공모안을 수정보안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 © News1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기존 공모안을 수정보안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 © News1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에는 위·변조를 막기 위한 보안요소를 함께 살펴야 한다. 김 교수는 "새롭게 적용할 보안 요소를 위해 유물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공모전 때 사용했던 특정 색상을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다"며 "위·변조를 막기 위해 구체적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2008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기존의 전자여권은 전자칩·책자번호 등 보안요소를 강화했지만 추가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권 내 신원정보면이 보안요소의 변경이 없어서 위·변조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여권의 신원정보면을 PC(Poly Carbonate) 재질로 제작해 보안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교수는 "여권 디자인의 콘셉트 자체가 보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차세대 전자여권에 적용될 보안기술은 제가 진행하고 있는 디자인과 별개로 전문팀이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교수는 디자인할 때부터 차세대 전자여권을 생산하는 시설의 조건도 고려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는 여권발급기는 총 87대로 한국조폐공사와 외교부가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 2004년부터 3년간 구매가 이뤄져 노후화된 상태다.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기존 공모안을 수정보안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 © News1
김수정 교수의 '여권 디자인 개선을 위한 공모전' 최우수작 공모안. 2020년 도입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 디자인은 기존 공모안을 수정보안해 오는 8월 확정될 예정이다. © News1



art@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