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태양광·풍력 지금의 9배..120조 신재생 에너지 시장 '활짝'

추가 48GW 발전설비 필요…태양광·풍력 업계 '반색'
정부 신재생 비중 목표 상향 불가피→진흥 정책 나올 듯

(서울=뉴스1) 이철 기자 | 2017-06-21 17:50 송고
한국수력원자력 고리태양광발전소. © News1
한국수력원자력 고리태양광발전소. © News1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조에 따라 관련 산업이 본격적인 개화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단순 추산으로만 120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시장이다.

21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주장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 공약을 지키려면 태양광은 37GW, 풍력발전은 육상풍력 3GW, 해상풍력 14GW 등 총 17GW까지 설비가 확대돼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태양광이 5GW, 풍력이 1GW 수준이다. 기후에 의존하는 태양광이나 풍력은 가동률이 타 발전원에 비해 크게 낮아 설비용량으로 계산한 비중보다 더 많은 설비를 지어야한다.
현재 업계는 신재생 발전 설치 비용을 1MW당 태양광이 16억원 내외, 해상풍력은 50억원, 육상풍력은 25억원 수준으로 보고 있다.

단순계산으로 추가 설치비용만 태양광이 약 51조원, 풍력은 72조원 등 총 120조원 규모다. 발전 운용시설, 토목공사 등을 감안하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태양광, 풍력 발전 업계도 본격적인 매출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크게 폴리실리콘(원료 가공)→잉곳(원기둥)→웨이퍼(원판)→셀(태양 전지)→모듈(전지 집약체)→발전소 개발로 이어진다.

폴리실리콘은 한화케미칼과 OCI 등이, 잉곳과 웨이퍼는 웅진에너지와 넥솔론 등이 주로 생산한다. 전지와 모듈은 한화큐셀, 신성솔라에너지 등이 만들고, 이외에 다수의 설치 및 시공 업체들도 있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국내시장이 워낙 작아서 해외수출 위주로 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하지만 새정부 정책에 따라 내수시장에서도 사업기회가 확보된다면 더 탄탄한 성장동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산중공업, 유니슨, 효성, 한진산업 등ㅎ 풍력발전기 제조사들도 시장확대를 반기고 있다. 특히 대규모 해상풍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정부는 구체적인 계획을 준비중이다. 2014년 정부가 발표한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보면 1차 에너지 대비 신재생 에너지 비중은 2020년까지 5%, 2025년 7.7%, 2030년 9.7%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문 대통령까지 2030년까지 20% 수준을 언급한 만큼 목표의 상향 수정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 진흥 정책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RPS)의 비율을 올리는 것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PS는 500㎿ 이상 발전사업자에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3.5%)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게 의무화한 제도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현재 기본계획의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공약 이행을 위해 방안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iron@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