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文, 신재생에너지 확대 재확인…태양광·풍력업계 기대감 물씬

태양광업계 "국내 사업기회 확대될 것"
풍력업계, 대규모 발주 기대감 '솔솔'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2017-06-19 12:04 송고 | 2017-06-19 17:44 최종수정
뉴스1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원전중심의 발전정책 폐기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태양광발전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업계는 사업기대 확대를 예상하며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19일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 기념사에서 "원전과 함께 석탄화력 발전을 줄이고 태양광, 해상풍력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탈석유' 선언과 애플의 태양광전기 판매, 구글의 태양광사업 진출 등을 예로 들며 "우리도 세계적 추세에 뒤떨어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에도 태양광·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 투자해 2030년까지 신재생발전 전력량이 전체 전력발전량의 20%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날 역시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임기 이후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 셈이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기술력을 자랑하지만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국내 태양광 업계도 기지개를 켤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업계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내 대형 태양광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시장이 워낙 작아서 해외수출 위주로 사업을 진출해왔는데 최근엔 이마저도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며 "내수시장에서도 사업기회가 확보된다면 더 탄탄한 성장동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화큐셀과 OCI 등 국내 대형 태양광업체는 최근 미국, 중국 등 주요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를 공식화하자 미국에서 매출의 30%를 올리는 한화큐셀은 매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우리나라 태양광전지에 대해 반덤핑 조사에도 착수하며 국내기업을 압박하고 있다.

OCI는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중국사업이 문제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갈등을 빚으며 지난해 말 국산 폴리실리콘 반덤핑 조사에 돌입한 바 있다. 중국 태양광 설치량은 30GW 이상으로, 전세계 40%를 차지한다.

현재 국내 태양광 설치량은 연간 1GW 수준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 3~4배 이상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만으로도 이미 국내 태양광업계는 활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중견 태양광업계 관계자는 "문 대통령 당선 이후에 실제로 소규모 발전시장을 중심으로 문의도 많아지고 실질적으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매출확대가 예상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국내 풍력업계도 표정이 밝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공약으로 2030년까지 해상풍력 13GW, 육상풍력 3GW 등 총 16GW의 풍력발전 설비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총 83개소 551기로 총 설비용량은 1GW(1031.4MW)에 불과하다. 국내 전체 발전설비용량의 1% 수준이다.

지난 2년간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 풍력발전사업허가 신청서를 낸 풍력발전 규모는 6GW를 넘어선다. 기존에 설치된 약 1GW의 규모까지 합치면 2030년 풍력발전의 규모는 23GW까지 늘어나는 셈이다.

풍력발전의 확대로 당장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은 두산중공업, 유니슨, 효성중공업, 한진산업 등 풍력발전기 제조사들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발주가 나오거나 한 것은 아니지만 조만간 정부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이 발표되면 대규모 수주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 © News1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 © News1



songss@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