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수능개편 폭풍전야…절대평가 전환? 공통과목만 출제?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개편 불가피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2017-05-12 06:00 송고 | 2017-05-12 09:04 최종수정
뉴스1 DB© News1 김명섭 기자
뉴스1 DB© News1 김명섭 기자

문재인 정부 초대 교육부장관 인선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새 장관이 곧바로 맡게 될 중책인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오는 7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확정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번 개편안의 핵심사안으로 평가체제 변경과 출제교과 구성이 꼽히는 가운데 각각 절대평가 전면 전환과 공통과목으로만 수능을 치르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고교 1학년 공통과목 국·영·수, 한국사 등 7과목
현재 중학교 3학년이 내년 고교에 입학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배우게 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1학년 때 공통과목(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을 이수하고 2·3학년 때에는 문·이과 구분 없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다양한 선택과목(일반선택, 진로선택)을 듣는다는 것이다. 의대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을 예로 들면 1학년 때 공통과목을 이수한 뒤 2·3학년 때 생명과학 Ⅱ, 생활과 윤리 등 선택과목을 배우는 식이다.

기존 교육과정과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평가제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중학교 3학년이 대입을 치르는 2021학년도 수능도 새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바뀌어야 한다.

하지만 새 수능 도입에는 난관이 있다. 가장 큰 문제가 평가체제와 출제방식이다. 내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새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3년간 배울 수 있는 과목은 공통과목 7개, 선택과목의 일반선택과목 62개, 진로선택과목 42개 등 111개나 된다. 과목 수가 너무 많아 현행 상대평가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고 출제과목 선정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고교 선택과목(2·3학년 과정) 목록 /교육부 제공© News1
2015 개정 교육과정 고교 선택과목(2·3학년 과정) 목록 /교육부 제공© News1

◇文 절대평가 전면 전환 공약

평가방식 문제를 해결할 주요 방안으로는 절대평가 전면 전환이 꼽힌다. 현행 수능에서는 영어 영역과 한국사 영역만 절대평가로 치르고 국어·수학·탐구영역 등은 상대평가를 적용하는데 2021학년도부터는 모든 출제과목을 절대평가로 통일하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 측도 대선 공약집과 좋은교사운동 등 교원단체의 캠프 관계자 초청 토론회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문재인 대선캠프 교육정책팀 관계자는 "새 교육과정이 적용되면 수능에서의 절대평가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했고 입시의 중요성을 고려해 교육공약에도 반영하게 됐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학만 절대평가로 바꿀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한 입시업계 관계자는 "절대평가 전환의 이유에는 새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상대평가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지만 사교육을 해결하겠다는 복안도 있다"며 "여론의 반발이 클 경우에는 가장 문제로 지적되는 수학 사교육을 잡는 것으로 선회해 수학만 절대평가로 전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통과목만 출제 우선순위로

현재 거론되는 수능 교과 구성방식에는 △공통과목(1학년 교육과정)으로만 치르는 방안(1안) △국어·영어·수학 등 공통과목과 일반선택의 국·영·수 심화과정(2~3학년 과정)을 포함하고 한국사·통합사회·통합과학은 공통과목으로만 출제하는 방안(2안) 등이다. 두 안은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행 수능체제를 토대로 반영한 것이다.

이중 유력한 방안은 공통과목으로만 출제하는 1안이 꼽힌다. 문재인 대선캠프에서 교육공약설계를 총괄한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지난달 25일 한겨레신문이 주최한 교육토론회에서 "일단 수능은 공통과목으로 바로 실행하는 게 좋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교육감은 현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 1순위로 꼽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육계 관계자는 "시기상 교육부가 개편안 구성을 완료했겠지만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방향을 반영하지 않을 순 없지 않겠나"라고 했다.

문재인 대선캠프 교육정책팀에서도 이 같은 방안을 담은 비공개 리포트를 작성했다. 교육정책팀 관계자는 "리포트에는 각 방안 시행에 따라 예상되는 효과·파장·문제점 등 시뮬레이션 결과만 담고 최종 결론을 내지는 않았다"면서 "다만 공통과목만 출제하는 것을 주된 방안으로 놓고 검토한 것은 맞다"고 말했다.

◇현장 의견 분분…"절대평가로 정상교육 실현" VS "학생부 입시로 단일화"

수능 절대평가 전면 전환을 놓고 현장에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전국진학지도협의회와 전국진로진학상담협의회가 지난달 18일 고교 진로·진학교사 대상 대입정책 심포지엄'에서 공개된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제 전환 찬반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교교사의 66%가 찬성했다.

안연근 서울 잠실여고 교사는 "수능의 평가방식이 고등학생으로서 이수해야 할 학력 성취수준을 진단하는 절대평가에 목표를 둘 때 고교는 수능시험에 짓눌리지 않고 정상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규민 연세대 교육학부 교수가 지난달 26일 '수능 개편 관련 고교-대학연계포럼'에서 공개한 대학 입학처장 38명과 고교 진학지도 교사 272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학년도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은 이르다는 의견을 밝힌 입학처장은 전체의 83.8%, 교사도 75%나 됐다.

이규민 교수는 "절대평가 전환으로 수능 변별력이 약화하면 대학은 학생부 중심의 수시 전형으로 입시를 단일화할 여지가 큰 것으로 본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나친 점수경쟁 완화" VS "반복학습만 늘 것"

출제교과 구성 항목도 주장이 갈린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지난 3월 대선을 앞두고 공개한 제19대 대통령선거 교육공약 요구과제에서 공통과목으로만 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철 교총 대변인은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지나친 점수경쟁을 완화하고 학교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2021학년도 수능부터 출제과목을 공통과목에 한정하는 게 맞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규민 교수가 앞선 포럼에서 공개한 또다른 입학처장·교사 대상 설문 항목인 수능 개편 후 출제방식 결과를 보면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을 모두 평가하자는 의견이 63.2%로 나타났다. 공통과목만 평가하자는 의견은 36.8%으로 적었다.

이규민 교수는 "공통과목으로만 수능을 치를 경우 6개 공통과목 중심의 반복학습이 심화하고 전체 고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지 못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무부처인 교육부가 마련한 안은 이달 말이나 다음달 예정인 공청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개편은 워낙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여러 방안들을 다각도로 검토해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kjh7@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