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탄핵 이끈 김무성·유승민, 차기 與비대위원장으로 급부상

친박 對 비박 격돌 불가피…'분당'도 변수

(서울=뉴스1) 이정우 기자 | 2016-12-11 16:10 송고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비박계 비상시국위원회 대표-실무자 회의에서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6.12.11/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비박계 비상시국위원회 대표-실무자 회의에서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6.12.11/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분당 위기로 치닫던 새누리당이 일단은 당 해체 보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주류는 탄핵 가결의 동력을 '재창당' 수준의 인적·물적 쇄신으로 이어갈 태세다. 여기엔 이정현 지도부 사퇴 및 일부 강성 친박 의원 축출, 그리고 비대위 구성이 포함된다.

반면 234표의 찬성표가 말해주듯 이탈표가 상당했던 친박계로서는 더이상 물러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탄핵 찬성을 주도한 김무성·유승민 의원을 배신자로 몰아세우며 세 결집을 시도하고 있다.
비대위 구성의 관건은 비대위원장 인선이다. 당 안팎에선 탄핵 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한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유력한 후보로 거론하고 있다.

친박계는 '당내 다수는 여전히 친박'이라는 논리로 친박계 중립 성향의 인물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압도적 탄핵 가결로 인해 큰 반향은 얻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정 원내대표도 이와 관련 "지금 국민들이 친박 지도부를 인정하겠느냐"라고 말했다. 이정현 대표 사퇴시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비대위 구성을 책임질 그가 비주류 중심의 새로운 체제를 옹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주류·비주류를 대표하는 중진 의원 6인 협의체는 김형오·박관용·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조순형 전 새천년민주당대표를 비대위원장 후보로 추천했지만, 모두 거부의사를 밝히며 당내 인사가 맡을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당 관계자는 "차기 비대위원장은 보수라는 가치를 빼고는 당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추진력과 함께, 당내 기존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라며 "그런 점에서 김무성·유승민 외에 마땅한 인물은 생각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봤다.

탄핵정국에서 유 전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 탄핵을 일관되게 주장, 비주류 진영이 흔들릴 때마다 내부를 추스리며 여권내 '중심추' 역할을 했다.

김 전 대표는 여권 인사 중 가장 먼저 박 대통령 탄핵을 주장하며 비주류 진영을 진두지휘했지만,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3차 담화 후 갈지자 행보를 보이며 빈축을 사기도 했다. 그러나 대선 불출마를 공언해 관리형 비대위원장으로는 적격이란 평가도 제기된다.

탄핵 이후 두 비주류 수장간 미묘한 알력도 눈에 띈다.

김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유 전 원내대표가 탄핵에 큰 역할을 했다고는 하지만, 여권에서 가장 먼저 박 대통령의 탄핵을 말하고, 자신을 내려놓은건 김무성 전 대표"라고 강조했다.

반면 유 전 원내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김 전 대표는 참신함이 떨어진다"며 견제구를 날리기도 했다.

다만, 친박의 버티기가 강경하게 이어진다면, 비주류 측의 집단 탈당으로 인한 분당 가능성도 있어, 비대위 구성은 물 건너 갈 수 있는 카드가 된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 시기에 따라 4~6월 조기대선이 현실로 다가온 상황에서 차기 비대위는 대선 관리를 책임질 것으로 보인다. 당헌당규상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철폐함으로써 비대위원장을 조기에 여당 대권주자로 옹립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비대위가 구성된다면 현 지도부가 의결한 전당대회 일정(내년 1월21일)은 번복될 가능성이 크다.


krusty@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