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우리은행 민영화 '흥행은 했다'…'가격'에 성패 달렸다

국내외 투자자 18곳 LOI 접수
11월 실제 입찰 참여 주목 '정부 예정가격' 변수

(서울=뉴스1) 오상헌 기자 | 2016-09-23 18:31 송고
© News1
© News1

"흥행엔 성공했다." 

23일 마감된 우리은행 지분 인수의향서(LOI) 접수 결과에 대한 정부와 업계의 공통된 평가다. 국내외 투자자 18곳이 82~119% 인수의향을 밝히면서 확실한 경쟁 구도가 갖춰졌다. 최대 인수 희망물량(119%)이 매각대상 물량(정부지분 30%)의 4배에 육박한다. 지난달 22일 정부가 과점주주 방식의 매각 방안을 발표하면서 "잠재 투자자 수요가 상당 수준 존재한다"고 자신한 대로다.
정부가 기대했던 대로 국내외 투자자들이 고루 참여했다. 지분 매입설이 돌던 포스코와 KT 등 국내 산업자본은 불참했지만, 국내외 금융사와 사모펀드(PEF)들이 도전장을 던졌다. 국내 금융사 중에선 생보업계 2위인 한화생명을 비롯해 증권업계 6위인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이 투자의향을 밝혔다. 한투증권은 전략적 투자자(SI)로 최대물량(8%)을 인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나온다. 해외 금융사 중에선 꾸준히 참여설이 제기됐던 중국 안방보험과 오릭스금융그룹이 LOI를 냈다.  

재무적 투자자(FI)인 PEF도 다수 참여했다. 국내 토종 PEF 중에선 한앤컴퍼니와 H&Q아시아퍼시픽코리아, IMM프라이빗에쿼티(PE) 등이 참여했다. 외국계는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CVC캐피털파트너스 등이 LOI를 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이 초기 흥행에 성공한 것은 소수지분(4~8%) 인수로도 얻을 수 있는 실익이 크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장기 투자와 경영권 참여 목적의 SI들은 사외이사 추천권을 활용해 직접 경영에 관여할 수 있다.

국내 대형은행인 우리은행과 사업 연계 시너지도 크다. 한투증권의 경우 우리은행 지분을 사면 증권에 치중된 사업구조를 은행 연관 업무로 확대할 수 있다고 본다. 한투증권 관계자는 "증권과 은행 사업의 직간접 연계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했다.
FI들은 민영화 성사 후 저평가된 우리은행 주가 상승에 따른 투자 수익을 기대한다. 우리은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4배에 불과하다. 민영화로 과점주주가 경영권을 행사하고 자율경영이 정착되면 기업가치 상승으로 주가도 오를 것이란 기대다.

이처럼 초기 흥행이 '대박'을 내면서 민영화 성공 가능성도 커졌다는 평가다. 인수의향을 밝힌 투자자들(18곳)이 과점주주단(4~8곳)의 2~3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매각대상 물량의 2배 정도는 최소한 들어와야 실제 입찰이 성공할 수 있다고 봤는데 3배 가까이가 LOI를 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볼 때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을 예단하기엔 여전히 이른감이 없지 않다. LOI는 "지분에 관심이 있다"는 정도의 의사표시다. 낙찰자 선정을 위해 11월에 진행되는 입찰에 투자의향을 밝힌 인수 후보들이 실제 참여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정부가 추진했던 과거 4차례의 우리은행 민영화 시도 과정을 봐도 그렇다. LOI 단계의 흥행 성공에도 실제 입찰에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모두 실패했다. 2014년 11월 정부가 경영권 매각과 병행 추진했던 소수지분 매각 입찰 당시엔 매각물량(17.98%)의 132% 수준인 23.76%가 참여했지만, 실제 판 지분은 5.94%에 불과했다. 정부가 정한 최소매각가격(예정가격)에 미치지 못한 응찰 가격을 제시한 투자자가 많아서였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은행 민영화의 성패는 정부가 입찰 직전 결정할 예정가격 수준에 따라 갈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 입장에선 우리은행 민영화의 3대 원칙 중 하나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포기할 수 없는 가치다.

반면 투자자들은 최소한 싼값에 지분을 인수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길 희망한다. 우리은행 매각 사정에 밝은 은행업계 고위 관계자는 "관건은 '가격'"이라며 "정부가 예정가격을 어떻게 산정할지, 투자자들이 우리은행 지분 가치를 어떻게 보고 응찰할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bborirang@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