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삼성 '갤럭시노트7', 美 보호무역주의 희생양 되나

삼성, 전량 새제품 교체 리콜 조치에도 美 강경 대응 나서..논란 재점화

(서울=뉴스1) 김보람 기자 | 2016-09-11 16:02 송고 | 2016-09-11 16:10 최종수정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을 사용하는 국내 이용자들에게 사용 중지를 권고한 가운데 11일 서울 종로구의 갤럭시노트7 체험매장을 휴대폰 대리점에 갤럭시노트7 리콜을 알리는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16.9.1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 미국 정부기관들이 이례적인 강경 대응에 나서 주목된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가뜩이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이 거센 데다 삼성전자의 '맞수' 애플은 성장세가 예전같지 않은 상황이라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이번 사태에 과도하게 개입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9일(현지 시간)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삼성전자가 이미 제품 전량을 회수해 교환해주겠다는 자발적 리콜 계획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리콜 문제를 들고 나왔다. CPSC는 "갤럭시노트7 전원을 끄고 사용하거나 충전하지 말라"며 "삼성전자와 공식 리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미국 연방항공청(FAA)도 기내에서 갤럭시노트7의 전원을 끄고 충전하거나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이후, 전세계 주요국 항공당국이 잇따라 유사조치를 발표했고 주요 항공사들도 갤럭시노트7의 기내사용을 금지하는 후속조치에 나섰다. 미국 정부 기관의 잇단 개입으로 갤럭시노트7을 둘러싼 안전성 논란이 재점화되는 모양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19일 출시한 갤럭시노트7에 일부 배터리 결함을 확인한 후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10개국에서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이미 공급한 글로벌 250만대 전량을 신제품으로 교환해주는 리콜 조치를 지난 2일 내놓았다.
하지만 CPSC와 FAA의 발표로 갤럭시노트7의 안전성 논란이 재점화됐다. 향후 제품 판매와 삼성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이같은 조치에 대해 자국산업 보호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대표 기업인 '애플'에 대한 고려도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다. 삼성전자가 북미시장 스마트폰 판매량 1위를 질주하는 가운데 미국의 스마트폰 기업 중 유일하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애플은 고전하고 있다. 게다가 갤럭시노트7은 역대 최고 제품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삼성에 비우호적이었던 미국 언론마저 호평을 쏟아냈지만 애플의 '아이폰7'에는 "혁신이 없다"는 혹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가 터졌고, 미국 정부가 앞장서 삼성전자에 강한 조치를 취하면서 애플 보호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마침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 등 대선주자들도 보호무역 강화를 공약으로 내건 상태다. 보호무역주의란 말 그대로 자국 산업의 보호를 위해 국제 무역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정부의 이런 개입은 미국 정부가 중국산 삼성·LG 세탁기에 대해 덤핑 예비판정을 내렸던 것과 흡사하다.

2011년 12월 월풀사의 삼성·LG전자 반덤핑·상계관세 제소가 촉발한 한미 세탁기 반덤핑 분쟁에서 지난 7월 미국 상무부가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에 대해 덤핑 예비판정을 내렸다. 지난 2012년 한국산과 멕시코산 삼성·LG 세탁기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가 세계무역기구(WTO)로부터 패소한 전례가 있는데도 중국산 한국 제품에 대해 덤핑 예비판정을 내린 것이다. 결국 지난 8일, 4년9개월만에 한국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지만, 당시 업계에서는 자국 기업인 월풀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최대 위협 요소인 한국 기업을 상대로 무리하게 통상장벽을 치고 있다는 비판이 들끓었다.

또 실제로 지난 2006년 '소니 배터리 사태'와 2009~2010년 '도요타 급발진 사태'는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문제가 제기된 후 초대형 리콜로 번져 해당 기업에 커다란 타격을 줬다. 

배터리 발화로 리콜된 소니 배터리 팩은 960만개에 달했다. 리튬이온 배터리 분야 선발주자였던 소니는 이 사태를 계기로 지난 7월 결국 리튬이온전지 사업부를 일본 무라타제작소에 매각했다. 도요타 급발진 리콜은 2009년 말부터 2010년초 약 900만대 규모로 이뤄져 이 회사 제품의 신뢰성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


borami@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