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반덤핑관세에 배터리 인증 만만디...자국 전기車 감싸는 中

포스코 전기강판에 37% 반덤핑 관세 부과
한국업체 생산 전기차 배터리 인증에 까칠

(서울=뉴스1) 박기락 기자, 장은지 기자 | 2016-07-25 15:48 송고 | 2016-07-25 16:26 최종수정
포스코가 생산중인 전기 강판© News1
포스코가 생산중인 전기 강판© News1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산업 보호·육성을 위해 무역장벽을 높이는 정황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업체가 생산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까칠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전기차에 쓰이는 강판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중국정부가 자국 전기차산업 육성에 힘을 주고 있는 점을 고려해 다양한 대응전략을 마련해야할 때란 지적이 나온다.
◇중국, 전기차 쓰이는 전기강판에 반덤핑 관세

중국 상무부는 이달 23일부터 5년 동안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유럽산 방향성 전기강판(GOES)에 최고 46.3%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포스코의 제품에 37.3%, 일본의 JFE에 39%의 관세가 부과됐으며 일본 신일본제철과 유럽 티센크루프 등에는 45.7%의 관세가 부과됐다.

변압기나 모터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은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제품이다. 최근까지 세계에서도 일부 철강사만 생산할 수 있을 정도다. 가격도 일반 강판의 4배에 달하며 국내에서는 포스코가 유일한 생산업체로, 매년 3만톤 이상을 중국에 수출해 왔다.
특히 방향성 전기강판은 최근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변압기 및 모터의 핵심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까지 높은 가격 탓에 방향성 전기강판보다 효율이 낮은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주로 전기차 부품으로 사용되지만 장기적으로 주행거리 연장을 위해 효율이 높은 방향성 전기강판이 이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전기차 시장 주도권을 잡으려는 중국도 이를 염두에 두고 관련 소재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덤핑 조치를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서도 바오산강철과 우한강철 등이 방향성 전기강판을 생산하고 있지만 기술력은 우리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업체 생산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대해서도 까칠

자국 전기차 산업을 보호·육성하려는 중국정부의 의도는 한국업체가 생산하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대한 까칠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데서도 묻어난다. 대표업체인 삼성SDI와 LG화학은 이같은 중국 정부의 태도에 말못할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 현지 공장까지 지으며 인증에 공을 들였다. 그러나 중국정부가 국내 배터리제조사의 기술 방식인 '삼원계' 배터리에 의구심을 내보이며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에서도 탈락시키는 쓴맛을 안겼다.

올 1월 중국정부는 한국업계가 주도하는 삼원계 방식 배터리에 대해 안정성 검증이 충분치 않다는 이유로 이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버스에 대해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보조금 중단 발표 당시 중국 정부는 전기버스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조치라고 했지만,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LFP 방식을 밀어주기 위한 규제라는 비판이 일었다.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들은 삼원계 배터리에 대해 중국정부의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주기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다. 이들은 다음달 5차 인증을 준비 중이다.

배터리 공식인증이 길어지다보니 중국내 전기차 제조사들의 이탈도 현실화될 조짐이다. 이미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를 장착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iEV6S'를 출시한 장화이자동차(JAC모터스)는 최근 해당 모델 생산을 잠정 중단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관계자는 "삼성 SDI, LG화학 등에서 배터리를 공급받기로 했던 중국 자동차 고객들도 수급 계획을 다시 세우고 있다"며 "언제 인증을 획득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어 중국시장에 대한 전략을 다방면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비야디(BYD·比亞迪) 전기차. © News1
중국 비야디(BYD·比亞迪) 전기차. © News1

◇ 중국, 자국 전기차 산업 육성에 적극적

중국은 고도성장속에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사실상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자국 시장을 내준 상황이다. 하지만 전기차가 지금의 내연기관차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자국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중장기 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하고 향후 5년간 매년 전기차 R&D(연구·개발) 투자에 약 1000억위안(약 17조원)의 자금을 투입해 500만대의 친환경차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또 2020년까지 현지 전역에 1만2000개의 충전소와 450만개의 충전설비를 구비하겠다는 목표다.

중국이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 이어 전기차 부문에서도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할 가능성은 높다. 그러나 현지 전기차 기술력은 아직 미국 등 선진국에 뒤진다는 평가다.

중국 전기차 업체 BYD는 지난해 테슬라를 제치고 6만1700여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로 올랐다. 하지만 이는 기술 경쟁력에서 앞서기보다 자국 시장과 중국 정부의 세제지원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전기차 산업과 관련해 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등 독자적인 육성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 기업이 과거 수출 방식의 현지 시장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현지 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거나 강소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kirocke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