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불확실한 주택경기때문?…재개발·재건축 '컨소시엄' 확대

대형사 정비사업 컨소시엄 비중 60%…전년比 11%p↑
"뉴타운 광풍·해제 경험"…고수익→저위험 사업전략 변경

(서울=뉴스1) 최동순 기자 | 2016-07-25 07:00 송고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에서 2곳 이상의 건설사가 합동으로 시공하는 컨소시엄사업의 비중이 늘고 있다.

분양시장이 호황을 이어가고 있지만, 브렉시트·실물경제 침체 등 장기적 불안요소는 여전해 안정성 위주의 수주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비사업은 통상적인 주택사업보다 사업기간이 길고 가변적이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형건설사들이 수주한 도시정비사업은 총 27건(공동수주 각각 집계)으로 수주액 5조64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컨소시엄을 통한 공동수주는 총 16건으로 전체의 59.3%에 달했다. 지난해 48.0%와 비교해 1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올해 상반기 7113억원의 정비사업을 수주한 SK건설은 전체 5개 사업 가운데 4개 사업을 컨소시엄을 통해 수주했다. 총 도급액이 6780억원에 달하는 수원 팔달8구역 주택재개발은 대우건설(지분율 60%)과 함께 수주했다. 5459억원 규모 고양시 능곡2구역 주택재개발은 GS건설(지분율 55%)과 참여했다.
지난해 상반기 총 5개의 사업 중 4곳을 컨소시엄으로 수주했던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 2개 사업 모두를 공동수주로 진행했다.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은 수주액을 기록한 대림산업은 전체 6개 사업장 가운데 2곳이 컨소시엄사업이다.

중견건설사와의 공동수주도 확대되는 추세다. 태영건설(지분율 75%)은 1월 포스코건설과 함께 포항 장성동 주택재개발사업을 수주했다. 호반건설은 이달 9일 대림산업, 한진중공업과 함께 부산 범천4구역 재개발 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정비사업에서 컨소시엄사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건설사들의 수주전략이 수익성 중심에서 안정성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어서다.

최근 주택경기 침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정부의 저금리 정책에 힘입어 분양시장 호황세가 이어지고는 있지만 장기적 전망까지는 낙관할 수 없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실물경제가 부동산시장을 떠받쳐주고 있지 못해 상황이 급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정비사업은 시장 상황에 가장 민감한 주택사업이다. 정비사업은 시공사선정 이후에도 사업시행인가·관리처분인가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해 통상 4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사업기간에 비례해 지자체 정책 변화나 조합 내부 갈등 등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지난해 분양한 가락시영아파트(송파 헬리오시티)의 경우 1999년 시공사 선정이후 약 17년의 기간이 소요됐다.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현재 부동산시장은 불확실성이 커서 1~2년 밖을 내다보기 힘들다"면서 "정비사업은 통상 3~4년의 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이제 시공사를 선정하는 단지는 그만큼 부담감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컨소시엄사업은 불필요한 수주 경쟁을 피하면서도 리스크 공유를 통해 사업 부담감을 낮출 수 있는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뉴타운 광풍과 금융위기에 따른 주택경기 침체, 연이은 뉴타운 해체 등 정비사업의 흥망성쇠를 경험했던 것도 한몫했다.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될 경우에는 매몰비용 협의 등으로 투자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과거에는 정비사업의 손실과 수익을 조합과 건설사가 공유하는 지분제 사업이 주를 이뤘다면 요즘에는 확정금액의 공사비만 받는 도급제 정비사업을 지배적"이라며 "최근 컨소시엄사업이 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dosool@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