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김해공항 확장 결정]밀양이냐 가덕도냐? 결론은 김해공항…돌고돈 신공항 10년

노 전 대통령 지시로 공론화…두 차례 대선 통해 이슈로 떠올라
MB 백지화 발표 이후 재추진…신공항 건설 대신 김해 공항 확장 결론

(서울=뉴스1) 최동순 기자 | 2016-06-21 15:25 송고 | 2016-06-22 09:36 최종수정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무산됐다.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건설 대신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로써 대구·부산 지역 갈등에 시달리며 백지화와 추진을 반복했던 영남권 신공항 사업도 10년여의 일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2006년 12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신공항 건설 검토를 공식 지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이같은 사업 검토는 지역사회의 오랜 요구 때문이었다. 부산시는 1992년 '부산권 신국제공항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고 2000년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당시 건설교통부는 2007년 3월 동남권 신공항 타당성조사 용역을 국토연구원에 발주했다.

신공항 건설은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서도 계속 이슈가 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7년 대선에서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다. 당선 이후인 2008년 9월에는 동남권 신공항을 30대 광역 선도 프로젝트로 지정했다.

후보지가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으로 압축되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졌다. 가덕도 건설을 지지하는 부산과 밀양 건설을 지지하는 대구·경남·경북·울산 간의 유치 경쟁이 격화된 것이다.

당초 2009년 9월에 발표하기로 했던 국토연구원의 용역결과 발표는 3차례나 연기됐다. 결과는 부정적이었다. △가덕도 9조8000억원 △밀양 10조3000억원에 달하는 높은 공사비가 추산됐다. 비용편익(B/C) 분석에서도 가덕도(0.70)와 밀양(0.73) 모두 1을 넘지 못했다.

2011년 3월 전문가들로 구성된 '동남권신공항 입지평가위원회'는 가덕도와 밀양 모두가 신공항 입지로 적합하지 않다고 발표했다. 결국 이명박 전 대통령은 그다음달 신공항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잠시 소강상태에 빠졌던 신공항 사업 추진에 다시 불을 댕긴 것은 2012년 대선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 영남권 신공항 사업을 포함하며 재추진 의사를 내비쳤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도 지방자치단체장 후보들은 신공항 건설 공약을 앞다퉈 내세웠다.

이후 국토부는 2014년 8월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을 통해 신공항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리고, 이듬해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ADPi)에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외부기관을 통해 공신력을 확보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불식하겠다는 의도에서다.

21일 국토부는 ADPi의 용역 결과를 토대로 신공항 사업의 대상지로 밀양과 가덕도 모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신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해 영남권 거점공항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한국개발연구원(KDI)를 통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뒤 기본계획을 수립해 2020년쯤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dosool@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