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앰네스티 "김정은 집권 후, 北주민 이동통신 통제 강화"

국제앰네스티 '통제된 사회, 단절된 삶' 보고서 발표

(서울=뉴스1) 맹선호 기자 | 2016-03-09 12:13 송고
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북한 내 휴대전화 사용 및 외부세계 정보 제한 실태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니콜라스 베클란 동아시아 사무소장이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2016.3.9/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북한 내 휴대전화 사용 및 외부세계 정보 제한 실태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니콜라스 베클란 동아시아 사무소장이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2016.3.9/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국제앰네스티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당국의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통제가 강화됐다고 밝혔다.

국제앰네스티 관계자는 9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주민이 휴대전화 사용으로 위협까지 당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제앰네스티가 이날 발표한 보고서 '통제된 사회, 단절된 삶'에 따르면 김정은이 2011년  북한노동당 제1비서가 된 후 휴대전화로 해외 거주 가족과 연락하다 발각된 북한주민은 정치범수용소나 기타 구금시설로 보내졌다.

2014년 탈북한 종희(가명·20대·여·서울)씨는 "어머니의 친구가 통화내용이 발각돼 단련대에 끌려갔다"며 "(통화내용은) 체제 비판이 아니라 돈을 달라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아놀드 팡 국제앰네스티 조사관은 "북한 주민들은 국제통화를 위해 산악지역으로 이동한다"며 "추적을 피하기 위해 통화는 짧고 암호를 활용해 실명거론을 피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외부세계 접촉을 막으려 감시 시스템 강화·신호 교란 장비 등의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팡 조사관은 최근 북한에서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휴대용 감청장치까지 도입됐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내 통신 산업이 발전 중이며 북한 내 국내용 휴대전화 가입자는 300만명을 넘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밀수한 휴대전화는 주로 △해외 거주 가족과 연락하는 사람 △탈북 시도자 △상인 등이 사용한다.

팡 조사관은 김정일 정권과 비교해 김정은 정권에서 △탈북 방지를 위한 국경 보안 △국경 상인 감시 △회색경제 탄압 등이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모든 주민들은 외국에 있는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자유를 인정받아야 한다"며 통신에 대한 감시를 중지할 것을 김정은 정권에 촉구했다.

니콜라스 베클란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사무소장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에 대한 통제는 모든 종류의 인권침해가 나타날 수 있는 조건"이라며 "북한주민만큼 다양하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받는 곳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앰네스티는 북한 통신 이용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한국과 일본에서 탈북자와 인터뷰했다. 이들은 대부분 2009년 이후 탈북한 주민이다.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